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재기태도가 약물태도를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재기태도가 약물태도에 영향을 줄 때 인지적 병식이 조절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C병원의 폐쇄병동에 입원한 조현병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재기태도 척도, Beck의 인지적 병식 척도(BCIS), 한국판 약물태도 척도(KDAI-10)를 실시하였다. 총 55개의 설문이 수집되었고, 그 중 42개의 설문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기태도와 약물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기태도의 약물태도에 대한 영향은 인지적 병식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인지적 병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재기태도가 높을 때에는 인지적 병식의 수준에 따른 약물태도의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기태도가 낮을 때에는 인지적병식의 수준에 따라 약물태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재기태도가 낮고 인지적 병식이 높은 집단이 약물태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 자신이 질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질환에 적응하지 못한 환자들이 병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약을 선택하며 약물태도가 긍정적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병식을 높여 조현병 환자의 치료 참여를 증진시키려고 하는 약물치료순응프로그램이 재기태도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조현병 환자가 재기태도가 낮은 경우에만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순응 증진 프로그램은 조현병 환자의 재기태도 및 인지적 병식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고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ossible to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drug attitude with recovery attitude among schizophrenic inpatients in a meaningful way. The study is especially aim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insight on the recovery attitude with dru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schizophrenic inpatients of C hospital in the Chungcheong area.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a recovery attitude scale, Beck cognitive insight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drug attitude inventory. 42 copies of surveys in total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s. As a result, both recovery attitude and cognitive insight showed as significant correlation to drug attitude positively. The degree of cognitive insight of low recovery attitude group had influences on drug attitude, but those of higher recovery attitude group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effect to drug attitude. It suggested that current medication methods, which try to improve medication compliance through enhancing insight may not be effective on schizophrenic patients who show a high degree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o illness. It raised needs to be recommended such as a patient's level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o illness should be considered when practicing medication methods, which could help to improve medication compliance through enhancing insight where applied.
강석임 (2011).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0, 97-129.
김나라, 김명식, 권정혜 (2005). 만성정신분열병의 회복과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739-754.
김미영 (2011). 정신장애인의 회복모형 연구. 이화여재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보연, 이창욱, 박종원 (1993).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에 대한 정신병리와 약물순응도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32(3), 373-380.
김유라, 윤탁, 김명선 (2006).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병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011-1027.
김희정 (2009).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8(4), 379-389.
박은자 (2011). 의약품 복약순응 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 포럼, 179, 82-91.
박정혜, 김춘경 (2015) 심상 시치료가 만성 조현병 입원 환자의 증상 완화 및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배정규, 손명자, 이종구 (2009a). 정신장애인 재기태도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605-627.
배정규, 손명자, 이종구 (2009b). 정신장애인의 재기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모형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811-831.
봉은주, 시영화, 박명숙, 배경희, 정미진, 양미화, 김송자 (2012).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 416-429.
송경옥 (2010).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MHRM-K)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154-188.
송해란 (2012). 일개 대학병원 정신과 외래 환자의 약물에 대한 태도와 순응도, 내재화된 낙인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유승희, 강정희 (2015). 약물이행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 고찰.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2), 285-297.
윤보현, 박원명, 이경욱, 홍창희, 안자경, 김명규 (2005). 한국판 약물태도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6(6), 480-487.
이미경 (2011). 자조집단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예승, 이영선 (2015).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 구성 연구. 보건사회연구, 35(3), 485-514.
임경민, 신은식, 심선화, 정윤주 (2014). 정신과 환자를 위한 한국판 회복평가척도(Recovery Assessnment Scale)의신뢰도및타당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628-638.
정숙희 (2010). 정신분열병 환자의 영적 안녕 정도에 따른 임파워먼트와 회복에 관한 연구. 신앙과 학문, 15(2), 199-224.
최말옥 (2008).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정신장애인의자기옹호와 재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 257-294.
최송식, 윤숙자, 박미진, 최윤정 (2008). 정신장애인이지각하는 스티그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재활복지 12(3), 91-115.
최윤정 (2010).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대한 지역사회통합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252-288.
최윤정, 최송식 (2007).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와 이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111-143.
황숙연 (2007).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1), 28-63.
Amador, X. F., Amodt, I., Marcinko, L., Seckinger, R. A., & Yale, S. A. (1994). Awareness of Illness in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and Mood Disorder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1, 826-836.
Anthony, W. A. (1990). Toward a vision of recovery. Boston, MA: Bosto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Barkhof, E., Meijer, C. J., Sonneville, L. M. J., Linszen, D. H., & Haan, L. (2011). Intervention to improve adherence to antipsychotic medic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A review of the past decade. European Psychiatry 27, 9-18.
Beck, A. T., Baruch, E., Balter, J. M., Steer, R. A., & Warman, D. M. (2004).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insight: the Beck Cognitive Insight Scale. Schizophrenia Research, 68, 319-329.
Chen, S. P., Krupa, T., Lysaght, R., McCay, E., & Piat, M. (2013). The Development of Recovery Competencies for In-patient Mental Health Providers Working People whit Serious Mental Illness. Adm Policy Ment Health, 40, 96-116.
Droulout, T., Liraud, F., & Verdoux, H. (2003). Relationships between insight and Medication adherence in subjects with psychosis. Encephale, 29, 430-437.
Fenton, W. S., Blyler, C. R., & Heinssen, R. K. (1997). Determinants of medication compliance in schizophrenia: empirical and clinical findings. Schizophrenia Bulletin, 23(4), 637–651.
Fisher. D. B. (2003) People are more important than pills in recovery from mental disorder.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43(2), 65-68.
Hogan, T. P., & Awad, A. G. (1992). Subjective response to neuroleptics and outcome in schizophrenia: a re-examination of two measures. Psychological Medicine, 347-352.
Jacobson, N., & Greenley, D. (2001) What is recovery? A conceptual model and explication. Psychiatric Services, 52(4), 482-485.
Kemp. R., Hayward. P., Applewhaite. G., Everitt. B., & David. A., (1996). Compliance therapy in psychotic patient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12.
Mller, H. J. (2007). Clinical evaluation of 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European Psychiatry, 22, 380–386.
O'Donnell, C., Donohoe, G., Sharkey, L., Owens, N., Migone, M., Harries, R., Kinsella, A., Larkin, C., & O'Callaghan, E. (2003). Compliance therap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 schizophrenia. British Medical Journal, 327.
Resnick, S. G., Rosenheck. R. A., & Lehman, A. F. (2004). An exploratory analysis of correlates of recovery. Psychiatric Services, 55, 540-547.
Rocca, P., Crivelli, B., Marion, F., Mongini, T., Portaleone, F., & Bogetto, F. (2008). Correlations of attitudes toward antipsychotic drugs with insight and objective psychopathology in schizophrenia. ComprPsychiatry, 49(2), 170-178.
Schneider, S., Klingberg, S., Wittorf, A., Buchkremer, G., & Wiedemann, G. (2008). Collaboration in outpatient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analysis of potentially influencing factors. Psychiatry Research, 161(2), 225–234.
Scott, C. S., Lore, C., & Owen, R. G. (1992). "Increasing medication compliance and peer support among psychiatrically diagnosed students". Journal of School Health, 62(10), 478-480.
Sheff. (1996). Being mentally ill. chicago. aldine(150), 285-292.
Silverstein, S. M., & Bellack, A. S. (2008). A scientific agenda for the concept of recovery as it applies to schizophrenia. Clinical Psychology Review, 28, 1108– 1124.
Smith, M. K. (2000). Recovery from a severe psychiatric disability : Findings of a qualitative study. Psychiatr Rehabil J, 24(2), 149-158.
Sullivan, W. P. (1994). Along and winding road :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Innov Res, 3, 19-27
Tait, L., Birchwood, M., & Trower, P. (2003). Predicting engagement with services for psychosis: insight, symptom and recovery sty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2(2), 123-138.
Trauer, T., & Sacks, T.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medication adherence in severely mentally ill clients treated in the communit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2, 211-216.
Verdoux, H., Lengronne, J., Liraud, F., Gonzales, B., Assens, F., Abalan, F., & van Os. J. (2000). Medication Adherence in psychosis: predictors and impact on outcome. A 2-year follow-up of first-admitted subject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2(3), 203-210.
Viinamaki, H., Niskanen, L., Jasskelainen, J., Antikainen, R., Honkanen, H. K., Tanskanen, A., Lavonen, T., & Lehtonen, J. (1996). Factors Predicting Psychosocial Recovery in Psychiatric Patient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94(5), 365-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