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외로움, 영성 및 우울의 관계: 베트남 거주 한인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Spirituality and Depression: Focused on Korean Immigrant Women in Vietna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2, pp.339-356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3
박신영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이서정 (중앙대학교)
현명호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외로움과 우울의 관계에서 영성이 중재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베트남 호치민시에 거주하는 195명의 한인 이주여성이었으며, 이들의 연령은 만 34세에서 64세(M=42.03, SD=5.64)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외로움과 우울, 영적 안녕감과 종교적 참여를 측정하는 척도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생활에서 외로움은 우울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한 우울은 귀국 예정 유무와 같이 이주생활과 관련된 변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중재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로움과 우울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하위 차원인 실존적 안녕감이 한인 이주여성을 우울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영적 안녕감의 또 다른 하위 차원인 종교적 안녕감과, 종교적 참여 정도는 우울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생활에서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황을 재해석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증진하는 것이 우울감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keywords
loneliness, spirituality, depression, emigration, Korean immigrant women, 외로움, 영성, 우울, 해외이주, 한인 이주여성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spirituality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95 Korean immigrant women of the age range from 34 to 64 years (M=42.03, SD=5.64). Loneliness, depression, and spirituality were evalua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loneliness of life in immigr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s to depression. Also,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immigra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plans to return to Korea or not. Test results indicated that existential well-being, a subordinate dimension of spiritual well-being, protected Korean immigrant women from depression. However, religious well-being, another subordinate dimension of spiritual well-being and religious participation, did not have an impact on depression. Thus, enhancing one's life meaning and reinterpretation of the situation in living overseas prevents depression efficientl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suggested.

keywords
loneliness, spirituality, depression, emigration, Korean immigrant women, 외로움, 영성, 우울, 해외이주, 한인 이주여성

참고문헌

1.

강은실, 송양숙, 조향숙, 강성년 (2004). 청소년의 자살의도와 우울, 영적안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3(2), 190-199.

2.

경수영, 장수미 (2010).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4(4), 399-421.

3.

계은경 (2007). 청소년 자살위험성과 영적 안녕감과의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구재선, 서은국 (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5.

국가법령정보센터 (2008). 재외국민등록법. 대한민국 국회.

6.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6, 13-30. 충남대학교.

7.

김동기 (2003). 종교심리학. 서울: 학지사.

8.

김명식, 이임순, 이창선 (2007). 한국판 BDI-Ⅱ의 타당화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997-1014.

9.

김수연 (1988). 도시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옥수 (1999). 일부 대학생들의 외로움이 음주, 흡연,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9(1), 107-116.

11.

김유심 (2010).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8, 187-218.

12.

김지연, 신민섭, 이영호 (2011). 대학생의 외로움 및 우울의 인지적 특성 :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7, 40-60.

13.

김현실 (2006). 문화 정체성, 문화 변용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캐나다의 소수 민족 이민 청소년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15(4), 384-391.

14.

박선영, 권석만 (2012).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41-768.

15.

박신영, 이서정, 현명호 (2012). 내재적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및 감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449-460.

16.

배정이 (2009). 미국 이민 한국인의 경험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8(4), 449-462.

17.

배정이, 박영숙, 윤숙희, 김윤정 (2010). 캐나다 이민자의 정신건강 실태. 스트레스 연구, 18(3), 191-199.

18.

배정이, 박현주 (2010). 미국 이민 한국인의 우울 및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9(1), 67-75.

19.

백준흠 (2000). 청소년의 종교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불교 청소년 교화의 활성화를위한 제언.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태, ... 한건수 (2005). 국제여성결혼이민자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1.

손신, 이정미, 류철원 (2007). 뉴욕시 거주 한인 노년층이민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과정상의 요인들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8, 79-108.

22.

신혜진 (2005). 종교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감리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안황란 (2007). 미국 이민 한국 여성의 문화 이입적 스트레스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6(2), 160-173.

24.

오성희, 박기환 (2007). 이민자들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계 호주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55-69.

25.

외교부 (2015). 재외동포현황.

26.

이은령 (2012). 노인의 종교생활이 우울수준 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진화 (2012). 영적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전은영, 김숙영, 김귀분 (2005).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우울 및 건강상태 분석. 노인간호학회지, 7(2), 157-165.

29.

정덕신, 배성만, 주은선 (2014).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9(3), 301-314.

30.

조인주 (2010). 재미 한인 남성의 우울증 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3), 221-240.

31.

조혜윤, 손은정(2008). 종교성향과 불안과의 관계에서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3), 773-793.

32.

최현주 (2006). 국내 외국인근로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한은경 (2003). 신앙성숙도 및 영적 안녕과 용서의 관계: 기독대학생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황혜리, 류수정 (2009).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애, 진로태도성숙 및 영적안녕과의 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8, 355-380.

35.

Adams, K. B., Sanders, S., & Auth, A. (2004).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independent living retirement communities: Risk and resilience factors. Aging and Mental Health, 8(6), 475-485.

36.

Ainlay, S. C., & Smith, D. R. (1984). Aging and religious participation. Journal of Gerontology, 39(3), 357-363.

37.

Allport, G. W., & Ross, J. D. (1967).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rejud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432-443.

38.

Baumeister, R. F., & Vohs, K. D. (2002). The pursuit of meaningfulness in life.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9.

Beck, A. T., Steer, R. A., & Brown, G. K. (1996).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Ⅱ.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40.

Bergin, A. E. (1983).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critical reevaluation and meta-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14, 170-184.

41.

Ellison, C. W. (1983). Spiritual well-being: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11, 330-340.

42.

Epley, N., Akalis, S., Waytz, A., & Cacioppo, J. T. (2008). Creating social connection through inferential reproduction: Loneliness and perceived agency in gadgets, gods, and greyhounds. Psychological Science, 19(2), 114-120.

43.

George, L. K., Larson, D. B., Koenig, H. G., & McCullough, M. E. (2000). Spirituality and health: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1), 102-116.

44.

Green, B. H., Copeland, J. R., M., Dewey, M. E., Sharma, V., Saunders, P. A., Davidson, I. A., ..., & Mcwilliam, C. (1992).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a prospective stud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86(3), 213–217.

45.

Hadzic, M. (2011).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13(4), 223-235.

46.

Harold, G., & Koenig, H. G. (2007). Spirituality and depression: A look at the evidence. Southern Medical Journal, 100(7), 737-739.

47.

Hoschl, C., Ruiz, P., Casas, M., Musalek, M., Gaebel, W., & Vavrusova, L. (2008). The impact of migration o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European Psychiatry, 23, S42.

48.

Kim, M. T., Han, H. R., Shin, H. S., Kim, B. K., & Lee, H. B.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xperience of immigrant populations:A study of Korean immigran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9(5), 217-225.

49.

Kitayama, S., & Markus, H. R. (2000).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the realization of sympathy:Cultural patterns of self, social relations, and well-being. In E. Diener & E. M. Suh (Eds.), Cultural and subjective well-being (pp. 113-161). The MIT Press, Cambridge.

50.

Koenig, H. G., McCullough, M. E., & Larson, D. B. (2001). Handbook of religion and heal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1.

Lindsey, M. N., Brandon, H. (2011). The significance of Spirituality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Illness: Implications for Mental Heatlh Counseling.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33(1), 51-66.

52.

Luanaigh, C. O., & Lawlor, B. A. (2008). Loneliness and the health of older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3(12), 1213-1221.

53.

Mahon, N. E. (1994). Loneliness and sleep during adolescent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8, 227-331.

54.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88(2). 224-253.

55.

McGrath, E., Keita, G. P., Strickland, B. R., & Russo, N. F. (1990). Women and depression : Risk factors and treatment issues.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

Mclntosh, D. N., Poulin, M. J., Silver, R. C., & Holman, E. A. (2011). The distinct roles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fter collective trauma: A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responses to the 9/11attack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4(6), 497-507.

57.

Nelson, C. J., Rosenfeld, B., Brietbart, W., & Galietta, M. (2002). Spirituality, religion, and depression in the terminally Ⅲ. Psychosomatics, 43(3), 213-218.

58.

Park, S. Y., & Bernstein, K. S. (2008). Depression and Korean American immigran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2(1), 12-19.

59.

Replau, L. A., & Pealman, D. (1982). Perspectives on loneliness. In L. A. Replau & D. Pealman (Eds.), Loneliness :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Interscience.

60.

Richards, P. S., & Bergin, A. E. (1997). A spiritual strategy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1.

Russe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