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2, pp.395-409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6
김영자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정남운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수용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성별에 따라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수용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의 경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알아보았다.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하여 특질 상위 기분 척도(TMMS), 수용-행동 질문지(AAQ-16),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수용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정서인식명확성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에서 수용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수용이 부분매개 하는 모형은 성별에 따라 경로계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정서인식명확성이 수용에 이르는 경로와 수용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강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줄이는데 있어서 수용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여성의 경우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emotional clarity, acceptan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partial mediation, 정서인식명확성, 수용,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부분매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otional clarit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determine its gender differences. Four hundred and thre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completed TMMS, AAQ-16, SIAS. Based on the results, males showed higher score of emotional clarity and the acceptance than females, and females showed higher score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an males. In addition, emotional clarity affects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by the partial mediation of the acceptance. The path coefficients showed gender differences, and a strong effect was observed in females than males, from emotional clarity to acceptance as well as acceptance to social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acceptance for reduc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especially for femal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emotional clarity, acceptan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partial mediation, 정서인식명확성, 수용,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부분매개

참고문헌

1.

김미옥,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 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11-316.

2.

김영혜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수용과 정서적 지지, 그리고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25, 37-58.

3.

동아일보 (2009. 3. 24). 세상이 무서워... 나, 집에만 있을래. http://news.donga.com/3/all/20090324/8711224/1에서 자료 얻음.

4.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혜남 (2006). 어른으로 산다는 것. 서울: 갤리온.

6.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7.

신아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0). 정서 마음챙김이 여자 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37-638.

8.

오은혜, 노상선, 조용래 (2009).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정서조절곤란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9(1), 80-85.

9.

이서정, 현명호 (2008).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892.

10.

이수정 (2001). 정서의 이론적 접근에 입각한 정서관리 방략.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1), 67-90.

11.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12.

이정윤 (1996). 사회불안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노출치료의 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6(1), 585-586.

13.

이효림 (2005). 유아의 정서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8-11.

14.

전미애, 김정모 (2011).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113-135.

15.

정윤진 (2003).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간의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조윤주, 박장희 (2005). 대학생의 개체화유형과 대인관계문제의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2(3), 89-108.

17.

허재홍 (2005). 자율신경계 신체반응, 인지과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83-1002.

1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9.

Abramowitz, J. S., Tolin, D. F., & Street, G. P. (2000).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studies. Clinical Psychological Review, 21, 683-703.

20.

Block, J. A., Wulfet, E. (2000). Acceptance or change: Treating socially anxious college students with ACT or CBGT. The Behavior Analyst Today, 1, 3-10.

21.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R. G. Heimberg, M. R. Leibowitz, D. A. Hope, & F. R. Schneider(Ed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Vol.41, pp.69-93). New York: Guilford Press.

22.

Dalrymple, K. L., & Herbert, J. D. (2007).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generalized social anxiety disorder: A pilot study. Behavior Modification, 31(5), 543-568.

23.

Dickstein, L. J. (2000). Gender differences in mood and anxiety disorders: From bench to bedside:American Psychiatric Press Review of Psychiatr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1186-1187.

24.

Goldman, S. L., Kraemer, D. T., & Salovey, P. (1996).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1, 115-128.

25.

Greenberg, L. S. (2004). Emotion-focused Therap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1, 3-16.

26.

Hayes, S. C., Luoma, J. B., Bond, F. W., Masuda, A., & Li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d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27.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28.

Hayes, S. C., Strosahl, K. D., Wilson, K. G., Bissett. R. T., Pistorello, J., Toarmino, D., Polusny, M. A., Dykstra, T. A., Batten, S. V., Bergan, J., Stewart, S. H., Zvolensky, M. J., Eifert, G. H., Bond, F. W., Fosyth, J. P., Karekla, M., & Mccurry, S. M. (2004).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The Psychological Record, 54, 553-578.

29.

Heimberg, R. G., Liebowitz, M. R., Hope, D. A., Schneier, F. R., Holt, C. S., Welkowitz, L. A., Juster, H. R., Campeas, D. F. (1998).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vs. phenelzine therapy for social phob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5, 1133-1141.

30.

Herbert, J. D., Gaudiano, B. A., Rheingold, A. A., Myers, V. H., Dalrymple, K., & Nolan, B. M. (2005). Social skills training augments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for anxiety disorder. Behavior Therapy, 36, 125-138.

31.

Kessler, R. C., Stein, M. B., & Berglund, P. (1998). Social phobia subtype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5, 613-619.

32.

Klein, R. B. (1998).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Guilford Press: New York London.

33.

Lazarus, R. S. (1993). Cognition and motivation in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92, 276-306.

34.

Leary, M. R., & Kowalski, R. M. (1995). Social anxiety. New York: Guilford Press.

35.

Mattick, R. P., &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 455-470.

36.

Mayer, J. D., & Stevens, A. A. (1994).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a-) 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8, 351-373.

37.

McFarland, C., & Buehler, R. (1997). Negative affective states and the motivated retrieval of positive life events: The role of affect acknowle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200-214.

38.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W. Pennebaker(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pp.125-154).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39.

Singer, A. R., & Dobson, K. S. (2007).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 563-575.

40.

Summerfeldt, L. J., Kloosterman, P. H., Antony, M. M., & Parker, J. D. A. (2006). Social Anxie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Journal of Psychology &Behavioral Assessment, 28, 57-68.

41.

Teasdale, J. D., Moore, R. G., Hayhurst, H., Pope, M., Williams, S., & Segal, Z. V. (2002).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275-287.

42.

Thayer, J. F., Rossy, L. A., Ruiz, E. P., & Johnsen, B. H. (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ve and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3), 349-364.

43.

Turk, C. L., Heimberg, R. G., Luterek, J. A., Mennin, D. S., & Fresco, D. M. (2005). Emotion Dysregulation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A Compariso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9, 89-106.

44.

Wallach, H. S., Safir, M. P., & Bar-Zvi, M. (2009). Virtual reali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public speaking anxie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Behavior Modification, 33(3), 314-33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