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DSM의 변천사와 시대적 의미의 고찰

The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History and Periodic Meanings of DS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3, pp.475-493
https://doi.org/10.17315/kjhp.2016.21.3.001
김청송 (경기대학교)

초록

DSM은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에서 발간한 『정신장애의 진단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책자이다. 이 책자의 목적은 다양한 정신장애를 지닌 정신질환자들의 진단과 분류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연구자간의 합의된 의사소통은 물론 치료와 경과 및 예후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DSM은 1952년 DSM-Ⅰ이 처음 출간된 이후, 2013년에는 DSM-5가 출간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지난 64년간의 DSM 출간 변화는 인간의 정신장애에 대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보다 과학적인 분류체계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시대적 상황이 변화되면서 인간의 정신적 문제도 복잡해지고 새로운 이상행동들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DSM-5는 다양한 증상들(예: 약화된 정신증 증후군, 지속성 복합 사별장애, 자살 행동장애,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 인터넷 게임 장애)을 다음 개정판 때 공식적인 정신장애로 추가할 움직임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DSM-Ⅳ에서는 없었던 파괴적 기분조절 곤란 장애, 저장 장애, 피부 벗기기 장애, 회피적/제한적음식섭취 장애, 초조성 다리 증후군 등을 공식 진단명으로 추가 수록했고, 정신장애의 분류 범주에도 큰 변화를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SM의 여러 비판점들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정신의학계는 물론 사회 각 분야의 정신건강전문가들 사이에서 가장 권위 있는 지침서로 활용되고있고,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일종의 바이블처럼 사용되고 있는 DSM의 변천 과정과 주요 내용에따른 시대적 의미의 변화 양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ICD와의 관련성은 무엇이며, DSM-5의 비판적 내용들의 특징 및 이와 관련된 추후연구의 함의를 정신건강과 건강심리학적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keywords
DSM, ICD, 이상행동, 정신장애, 이상심리학, 분류체계, 진단, 추후연구 진단기준, DSM, ICD, abnormal behavior, mental disorder, abnormal psychology, classification system, diagnosis, proposed criteria conditions for further study

Abstract

The present study, we reviewed the transition history and periodic meanings of DSM.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is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with the purpose of more efficiently applying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ental patients with various mental disorders, and facilitating research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treatment, lapse process and prognosis. DSM-Ⅰ was initially published in 1952 and the currently available DSM-5 in 2013. Such DSM to reflect the periodic conditions of humans' mental disorder, as well as develop a 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Changes in the periodic conditions have led to identification of new abnormal behaviors such as attenuated psychosis syndrome, persistent complex bereavement disorder, suicidal behavior disorder, non-suicidal self-injury, neurobehavioral disorder associated with prenatal alcohol exposure, caffeine use disorder, and internet gaming disorder. As a result of further study, DSM-5 has included these disorders as official mental disorders to its revised edition. DSM-5 includes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hoarding disorder, excoriation or skin-picking disorder, avoidant/restrictive food intake disorder, and restless legs syndrome as official diagnoses previously absent in DSM-IV, it also attemp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classification range of mental disorder. Although DSM, the US classification of abnormal behaviors, faces various criticisms, it is still used as the authoritative guide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psychiatric field and various other area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main contents, implications of further study, the change aspect of DSM, the relationship between DSM and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Health Problem),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ritical contents of DSM.

keywords
DSM, ICD, 이상행동, 정신장애, 이상심리학, 분류체계, 진단, 추후연구 진단기준, DSM, ICD, abnormal behavior, mental disorder, abnormal psychology, classification system, diagnosis, proposed criteria conditions for further study

참고문헌

1.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제2판. 서울: 학지사.

2.

김청송 (2015).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제1판. 수원: 도서출판 싸이북스.

3.

김청송 (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제2판. 수원: 도서출판 싸이북스.

4.

보건복지부 (2012). 2011년 정신질환 역학조사 요약보고서.

5.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2015). OECD Health Data 2015.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6.

이현수 (1993). 이상행동의 심리학, 제3판. 서울: 대왕사.

7.

이현수 (1995). 이상행동의 심리학, 제4판. 서울: 대왕사.

8.

이현수 (2002). 이상행동의 심리학, 제5판. 서울: 대왕사.

9.

이현수, 이인혜, 최미례, 연미영, 김청송 (2012). 이상행동의 심리학 제6판. 서울: 대왕사.

10.

최기홍 (2013). DSM-5의 이해와 적용. (사)한국정신보건전문요원협회 2013년 임시총회 추계교육 자료집.

11.

통계청(2015). 제7차 한국표준 질병․사인 분류 개정고시(통계청 고시 제2015-159호).

12.

Allen Frances. (2014). 정신의학적 진단의 핵심. 서울: 시그마프레스. [Essentials of Psychiatric Diagnosis]. (박원면, 민경준, 전덕인, 윤보현, 김문두, 우영섭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13년에 출판).

1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52).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1th Edition(DSM-Ⅰ). Washington, DC: Author.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68).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DSM-Ⅱ). Washington, DC: Author.

1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DSM-Ⅲ). Washington, DC: Author.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DSM-Ⅲ-R). Washington, DC: Author.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DSM-Ⅳ). Washington, DC: Author.

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text re-vision; DSM-Ⅳ-TR). Washington, DC: Author.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ition(DSM-5). Washington, DC: Author.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 정신질환의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ition]. (권준수 외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간)

21.

Barlow, D. H. (2014). Abnormal Psychology: An Integrative Approach-7th Edition. International Edition: Cengage Learning.

22.

Frances, A. (2013). Essentials of Psychiatric Diagnosis: Responding to the Challenge of DSM-5.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Inc.

23.

Ingram, R. E., & Price, J. M. (2010). Understanding psychopathology. The role of vulnerability. In R. E. Ingram & J. M. Price(Eds.), Vurnerability to psychopathology. Risk across the lifespan. New York: Guilford Press.

24.

Kerig, P. K., & Ludlow A. (2014).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with Dsm-5 Update. Columbus:McGraw-Hill Education UK Ltd.

25.

Kring, A. M., Johnson, S. L., Davison, G., C., & Neal, J. M. (2010). Abnormal Psychology. New York:John Wiley & Sons, Inc.

26.

McCarthy, M. M. (2002). A brief history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02)11244-X/fu lltext.

27.

Scotti., J. R., & Morris, T. L. (2000). The Development of the DSM. www. kadi. my web. uga. edu.

28.

Shorter, E. (2009). 정신의학의 역사. [History of Psychiatry]. (최보문 역). 서울: 바다출판사.(원전은2008년에 출판).

29.

Wenar, C., & Kerig, P. (2012).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6th Edition. New York:McGraw-Hill Companies.

30.

World Health Organizarion. (1992). ICD-10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lines. World Health Organizar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