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대학생용 Bergan 페이스북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Ver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4, pp.773-790
https://doi.org/10.17315/kjhp.2016.21.4.006
신성만 (한동대학교)
김재영 (한동대학교)
라영안 (한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중독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페이스북중독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ndreassen, Torsheim, Brunborg와 Pallesen(2012)이제작한 Bergan 페이스북 중독척도(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BFAS)의 18문항을 번안하여 타당화하였다. 먼저 번안된 페이스북 중독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18개의 예비문항 모두 척도 구성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다른 328명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페이스북 중독 예비척도에서 원척도와 동일한 현저성, 내성, 기분변화, 재발, 금단, 갈등의 6요인 모형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관련척도, 성격 5요인 중 외향성, 신경성과의 상관 분석을 통해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문항들의내적 일치도 또한 적절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Facebook addiction, SNS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scale validation, 대학생 중독, 인터넷 중독, SNS 중독, 페이스북 중독, 타당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The aim of validating the scale was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levels of Facebook addiction. After item analysis, all 18 items of the 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were kept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ix-factor model (i.e., salience, tolerance, mood, relapse, withdraw, and conflict) was the best structure. These results support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The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by making significant relationshipswith an Internet Addiction scale,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nd Big Five Personality Test.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also supported, thus we found that a six-factor model of the scale was an acceptable measuring tool to assess Korean college students’ levels of Facebook addiction. At the end, we offer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Facebook addiction, SNS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scale validation, 대학생 중독, 인터넷 중독, SNS 중독, 페이스북 중독, 타당화

참고문헌

1.

고은영, 최윤영, 최민영, 박성화, 서영석 (2014).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13-738.

2.

권수영 (2007). 한국인의 관계심리학. 파주: 살림.

3.

김동일, 정여주, 이은아, 김동민, 조영미. (2008). 아동, 청소년상담: 간략형 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가진단척도 개발과 타당화. 상담학연구, 9(4), 1703-1722.

4.

김동일, 정연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 남지은 (2012).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2), 629-644.

5.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6.

김선영, 김재민, 유준안, 배경열, 김성완, 양수진, ... 윤진상 (2010). 노인에서 한국판 성격 5요인 척도의표준화 및 타당도. 생물정신의학, 17(1), 15-25.

7.

김지연, 심혜원 (2016).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2), 73-100.

8.

김형수 (2014).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지향성과 SNS 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5(2), 11-26.

9.

김희연, 오주현 (2012). 국내외 SNS의 현황과 사회적의미. 방송통신정책, 24(12), 19-42.

10.

박미향, 김정숙, 함경애 (2014). 대학생의 성격 5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1(2), 189-206.

11.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289-297.

12.

배병렬 (201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청람.

13.

서거 (2012). 페이스북(Facebook) 이용 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서보경 (2014).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305-317.

15.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Ebesutani, C., 조인성 (2015).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497-512.

16.

오윤경 (2011).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우공선 (2011). 네트워크 서비스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트위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유현숙 (2012). 사회불안 및 페이스북 이용동기가 SNS 중독과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이상호, 고아라 (2013).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연구. 한국언론학보, 57(6), 176-210.

20.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 (2016).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2), 63-80.

2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a). 2015년 미디어보유와 이용행태 변화.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b).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3.

통계청 (2015). 국제통계연감.

24.

홍신영 (2015). 대학생의 SNS 이용특성과 자아정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황유선 (2015). 페이스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11(3), 133-175.

26.

Alabi, O. F. (2013). A survey of Facebook addiction level among selected Nigerian University undergraduates. New Media and Mass Communication, 10, 70-80.

27.

Andreassen, C. S. (2015). Online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 A comprehensive review. Current Addiction Reports, 2(2), 175-184.

28.

Andreassen, C. S., Torsheim, T., Brunborg, G. S., & Pallesen, S. (2012).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1, 2. Psychological reports, 110(2), 501-517.

29.

Andreassen, C. S., & Pallesen, S. (2013). Facebook Addiction: A reply Griffiths(2012). Psychological Reports: Mental & Physical Health, 113(3), 899-902.

30.

Andreassen, C. S., & Pallesen, S. (2014).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an overview.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25), 4053-4061.

31.

Barbera, D., Paglia, P., & Valsavola, R. (2009). Annual Review of Cybertherapy and Telemedicine, 7, 33-36.

32.

Cam, E., & Isbulan, O. (2012). A New Addiction for Teacher Candidates: Social Networks.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1(3), 14-19.

33.

Elphinston, R. A., & Noller, P. (2011). Time to face it! Facebook intrusion and the implications for romantic jealous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11), 631-635.

34.

Griffiths, M.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4), 191-197.

35.

Griffiths, M. D. (2010a). Gaming in social networking sites: a growing concern?. World Online Gambling Law Report, 9(5), 12-13.

36.

Griffiths, M. D. (2010b). The role of context in online gaming excess and addiction: Some case study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8(1), 119-125.

37.

Griffiths, M. D., & Parke, J. (2010). Adolescent gambling on the Internet: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t Medicine and Health, 22(1), 59-75.

38.

Heyman, G. M. (2009). Addiction: A disorder of cho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9.

Hormes, J. M., Kearns, B., & Timko, C. A. (2014). Craving Facebook? Behavioral addiction to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deficits. Addiction, 109(12), 2079-2088.

40.

Hu, L., & Bentler, P. M. (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41.

Kirschner, P. A., & Karpinski, A. C. (2010).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6), 1237-1245.

42.

Kittinger, R., Correia, C. J., & Irons, J. G. (2012).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use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5(6), 324-327.

43.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44.

Lee, S. J. (2013).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 Traits, Gratification and Social Networking Sites Addiction: Focusing on Facebook Us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1(4), 17-39.

45.

Rosenberg, P. K., & Feder, C. L. (2014). 행동중독(신성만 역). 서울: 박학사.

46.

Ryan, T., Chester, A., Reece, J., & Xenos, S. (2014). The uses and abuses of Facebook: A review of Facebook addiction.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3(3), 133-148.

47.

Salehan, M., & Negahban, A. (2013). Social networking on smartphones: When mobile phones become addi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6), 2632-2639.

48.

Walsh, S. P., White, K. M., & Young, R. M. (2010). Needing to connect: The effect of self and others on young people's involvement with their mobile phone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2(4), 194-203.

49.

Wilson, K., Fornasier, S., & White, K. M. (2010). Psychological predictors of young adult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2), 173-177.

50.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UK: John Wiley & Sons.

51.

Yu, S., Hsu, W., Yu, M., & Hsu, H. (2012). Is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Correlated with Internet Addiction? Facebook Use among Taiwanese College Students.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68, 1659-1661.

52.

Yuan, K. H., & Bender, P. M. (2000). On equivariance and invariance of standard errors in three exploratory factor models. Psychometrika, 65, 121-13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