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Study of Association of Social Activities and Elderly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2, pp.355-374
https://doi.org/10.17315/kjhp.2017.22.2.00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an association between elderly depression and social and loss experiences.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people having lar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are prone to relatively low depression. This study anticipated that maintaining member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uld influence depression. We investigated 263 elderly People living at Ganghwado Island. They were part of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KSHAP), and the entire cohort was aged over 60 years. Our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 definite association between elderly depression and cognitive dysfunction. We observed that maintaining social activities has a moderating effect on depression. The group who continued their membership in their social groups was less likely to be depressed by increasing cognitive dysfunction. We therefore suggest that joining social groups enhances opportunities to get help from others belonging to the group. ln elderly patients with cognitive dysfunction, participation in activity increased the probability to get help from others. Further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keywords
농촌 노인, 우울, 공동체 활동 지속성, 인지기능, 상실, rural elderly, depression, maintaining membership, social activities, cognitive dysfunction

Reference

1.

강선옥 (2011).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관련 요인 연구-영구임대아파트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실천학회, 7, 23-44.

2.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한 K-MM8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5(2), 300-308.

3.

고정은, 이선혜 (2012).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22-351.

4.

국립국어원 (2016).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446364에서 인출

5.

권용철, 박종한 (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과, 28, 125-135.

6.

김경식 (1995). 대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4(단일호), 113-138.

7.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2012).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1), 289-303.

8.

김명일, 신혜리 (2013). 노인의 우울과 자살 생각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와 과거 노후준비가 가지는 조절효과. 서울도시연구, 14(4), 185-201.

9.

김미혜, 서혜경 (2002). 노인복지실천론. 서울: 동인.

10.

김상철, 맹창호 (2013). 계층인식 연구의 사적 고찰 및 노인의 삶의 특성과의 연관성 분석. 한국행정사학지, 33(단일호), 27-51.

11.

김석일 (2012).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1(1), 333-344.

12.

김영범, 이승훈 (2008).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안녕감: 서울 및 춘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28(1), 1-18.

13.

김현숙, 유수정, 한규량 (2002).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14.

김호영 (2012). 인지통제 훈련이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호영. (2015). 노년기 사회적 삶과 인지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225-251.

16.

김효정, 고선규, 권정혜 (2008).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73-89.

17.

민기채, 이정화 (2008). 비공식적 관계망에 대한 지원제공이 노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3), 515-533.

18.

박경혜, 이윤환 (2006).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6(2), 275-289.

19.

박정숙, 이영휘, 김화순 (2015). 경로당 이용 노인의 인지기능장애 위험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7(3). 121-130.

20.

박혜성 (2007) 노인가계의 경제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백설하, 이희선 (2010). 요가수련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1(2), 25-47.

22.

백옥미 (2013). 중․ 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4), 94-115.

23.

송이은, 김진영 (2012). 고용지위와 우울의 관계. 보건사회연구, 32(1), 228-259.

24.

신은숙, 조영채 (2012).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201-210.

25.

안지선, 전혜정. (2012).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65-85.

26.

오승환 (2007).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 복지학, 23, 209-231.

27.

원장원, 양금열,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이영수 (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특징. 대한노인병학회지, 6(1), 1-10.

28.

윤선아 (2011). 노년기의 발달과제와 심리적 특성. 뇌교육연구 특별호, 120-148.

29.

윤종렬 (2005). 제6회 고령사회포럼.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3-33.

30.

윤혜경, 박혜원, 이한준, 권오식 (2014). 노인의 인지적실행통제 기능 훈련이 인지와 우울정서에 미치는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2), 51-60.

31.

이기홍, 정병은 (2010).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연구: 1)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1(2), 45-69.

32.

이미숙 (2012). 노인인구의 결혼관계와 우울증세. 한국사회학, 46(4), 176-204.

33.

이현주 (2013).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차이와 위험요인. 노인복지연구, 61(단일호), 291-318.

34.

임선영, 김태현 (2002). 노년기 부부 스트레스와 결혼불안정성. 한국노년학, 21(3), 111-128.

35.

임은의, 이종남, 박보영 (2014). 농촌노인의 사회활동과사회활동 만족도가 사회정서적 고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40(3), 123-147.

36.

임주영, 전귀연 (2004).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 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71-87.

37.

전미숙. (2016).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1), 505-523.

38.

전해숙, 강상경 (2009). 노년기 우울궤적의 예측요인: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한국노년학, 29(4), 1611-1628.

39.

정경희 (1995).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5(2), 52-68.

40.

정문미, 원영신 (2011). 신 노년 세대에 대한 고찰.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1(2), 49-65.

41.

정윤경 (2014). 노년기 취업활동의 변화와 우울증상: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노인복지연구, 66(단일호), 55-81.

42.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3), 381-399.

43.

최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44.

최영애 (2003). 노인들의 우울, 자존감 및 건강행위에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1, 27-47.

45.

통계청 (2008).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46.

한지원, 김태희, 주진형, 박준혁, 김정란, 유승호, 김기웅 (2010). 치매 선별용 간이정신상 태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와 단축형 MMSE-DS (SMMSE-DS)의 한국 노인 정상규준 연구. J Korean Geriatr Psychiatry, 14, 27-37.

4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48.

Bukov, A., Maas, I., & Lampert, T. (2002). Social Participation in Very Old Ag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Findings From BAS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7(6), 510-517.

49.

Chou, K. L., & Chi, I. (2001). Financial strain and depressive symptoms in Hong Kong elderly Chinese: the moderating or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Aging & Mental Health, 5(1), 23-30.

50.

Feldman, D. C. (1994). The decision to retire early: A review and conceptu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2), 285-311.

51.

Martikainen, P., & Valkonen, T. (1996). Mortality after the death of a spouse: rates and causes of death in a large Finnish cohor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6(8), 1087-1093.

52.

Nygård, L. (2003).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stepping‐stone towards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in subjec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07(s179), 42-46.

53.

Reitzes, D. C., Mutran, E. J., & Fernandez, M. E. (1996). Does retirement hurt weil-being?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retires and workers. The Gerontologist, 36(5), 649-656.

5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55.

Shimada, H., Park, H., Makizako, H., Doi, T., Lee, S., & Suzuki, T. (2014).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57, 149-156.

56.

Serby, M., & Yu, M. (2003). Overview: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Mount Sinai journal of medicine, New York, 70(1), 38-44.

57.

Turvey, C. L., Carney, C., Arndt, S., Wallace, R. B., & Herzog, R. (1999). Conjugal loss and syndromal depression in a sample of elders aged 70 years or ol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10), 1596-1601.

58.

Ybarra, O., Burnstein, E., Winkielman, P., Keller, M. C., Manis, M., Chan, E., & Rodriguez, J. (2008). Mental exercising through simple socializing:Social interaction promotes general cognitive function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2), 248-259.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