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의 즉각 반응 및 선택 충동성의 양상†

The Patterns of Rapid Response and Choice Impulsivity in Young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3, pp.779-798
https://doi.org/10.17315/kjhp.2017.22.3.016
임종민 (경북대학교)
이종환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곽호완 (경북대학교)
장문선 (경북대학교)
구본훈 (영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서 즉각 반응 충동성(RRI)과 선택 충동성(CI)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대학생 6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30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연속 수행 과제(CPT), 멈춤 신호 과제(SST),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EDT)를 컴퓨터 및 스마트폰 웹기반으로 모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웹기반 과제의 결과는 컴퓨터 웹기반 과제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스마트폰 웹기반 실험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SAS-B)를 기준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27명)과 통제집단(28명)을 선정하여 CPT, SST, ED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은 컴퓨터 및 스마트폰 웹기반 모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CPT의 오경보율과 SST의 SSRT 값이 유의하게 높고 EDT의 AUC 값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행동의 시작을 억제하거나 진행 중인 행동을 멈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충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 경향 집단은 컴퓨터 웹기반에 비해 스마트폰 웹기반에서 CPT의 누락오류율과 SST의 SSRT 값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진행 중인 행동을 억제하고 주의력을 유지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이 행동중독의 하위유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keywords
스마트폰, 스마트폰 중독, 즉각 반응 충동성, 선택 충동성, 스마트폰 기반 과제, smartphone, smartphone addiction, rapid response impulsivity, choice impulsivity, smartphone based tas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patterns of Rapid-Response Impulsivity (RRI) and Choice Impulsivity (CI)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smartphone addic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subjects. Prior to the study, 30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618; these participants performed a Continuous Performance Task (CPT), a Stop Signal Task (SST), and an Experiential Discounting Task (EDT) through both a computer and a smartph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neuropsychological task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use CPT, SST, and EDT wth a smartphone. In the study,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n=27) and the control group(n=28) were selected among 618 students, based on their results on the SAS-B, and performed the CPT, the SST, and the EDT.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 showed more commission errors in the CPT, higher SSRT in the SST, and lower AUC in the EDT. In particular,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group showed increased ommission errors in the CPT, and SSRT in the SST on the smartphone than the computer,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have difficulties in refraining from action initiation or stopping an ongoing action, as well as difficulties in delaying gratification or exerting self control; we conclude that smartphone addiction might be regarded as a subtype of behavioral addiction.

keywords
스마트폰, 스마트폰 중독, 즉각 반응 충동성, 선택 충동성, 스마트폰 기반 과제, smartphone, smartphone addiction, rapid response impulsivity, choice impulsivity, smartphone based task

참고문헌

1.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580.

2.

김교헌 (2006). 중독과 자기조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63-105.

3.

김교헌, 변서영, 임숙희 (2016).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 27(1), 131-154.

4.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 남지은 (2012).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2), 629-644.

5.

김영주, 이인혜 (2010). 도박 중독 취약성과 억제 능력의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817-840.

6.

김지경, 곽호완, 장문선, 구본훈 (2012). 인터넷 중독 성향과 사용유형에 따른 충동성과 플로우 경험의 차이.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4), 1041-1057.

7.

류주연, 김윤희 (2016). 대학생의 ADHD 증상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563-578.

8.

우정애, 김성봉 (2014).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성향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5(2), 865-885.

9.

원주영, 김은정 (2008). 멈춤 신호 과제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217-234.

10.

유화경, 손정락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4(2), 415-426.

11.

이선종, 이민규 (2016). 스마트폰 사용자의 성격과 이용동기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 357-372.

12.

이정훈, 장문선, 박길흠, 정순기, 곽호완 (2012). 스마트폰기반 심리설문검사 및 신경심리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941-960.

13.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2016).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425-443.

14.

전혜연, 현명호, 전영민 (2011).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전두엽 실행기능의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215-229.

15.

정경미, 김지혜 (2013).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의 최대보상액 크기가 과제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1), 55-76.

16.

정란, 박형규, 장문선, 곽호완 (2016). ADHD 경향 유무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집단의 주의력 및 억제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4), 593-615.

17.

정서림, 유형근, 남순임 (2014).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5(3), 1145-1162.

18.

조영철, 박형규, 장문선, 곽호완 (2016). 스마트폰 중독경향집단의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비교맹시 과제를 활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및 생물, 28(1), 25-43.

19.

최부열, 정경미 (2011). 충동성 측정도구로서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Delay Discounting Task)의 상대적 유용성 평가.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4), 845-869.

20.

최선우, 김승현 (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65-383.

21.

최현지, 정경미 (2016). 피드백 중재가 스마트폰 중독위험군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감소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365-391.

2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s://www.iapc.or.kr/info/lib/showInfoLib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003777&board_type_cd=A8에서 2016, 6, 1 인출.

2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a).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www.iapc.or.kr/info/mediaAddc/showInfoMediaAddc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090657에서 2016, 6, 1 인출.

2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b). 스마트폰중독 유형별 상담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www.iapc.or.kr/info/mediaAddc/showInfoMediaAddc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102935에서 2016, 6, 1 인출.

2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국가정보화백서.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44086&bcIdx=18304&parentSeq=18304에서 2017, 4, 1 인출.

26.

홍선희, 유형근, 남순임 (2015).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SNS 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6(6), 241-257.

27.

Billieux, J., Maurage, P., Lopez-Fernandez, O., Kuss, D. J., & Griffiths, M. D. (2015). Can disordered mobile phone use be considered a behavioral addiction? An update on current evidence and a comprehensive model for future research. Current Addiction Reports, 2(2), 156-162.

28.

Broos, N., Diergaarde, L., Schoffelmeer, A. N., Pattij, T., & De Vries, T. J. (2012). Trait impulsive choice predicts resistance to extinction and propensity to relapse to cocaine seeking: a bidirectional investigation. Neuropsychopharmacology, 37(6), 1377-1386.

29.

Dell’Osso, B., Altamura, A. C., Allen, A., Marazziti, D., & Hollander, E. (2006). Epidemiologic and clinical updates on impulse control disorders: a critical review.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6(8), 464-475.

30.

Draine, S. C. (2016). Inquisit (Version 5.0.1.0) [web software] Seattle, WA: Millisecond Software LLC.

31.

Fineberg, N. A., Chamberlain, S. R., Goudriaan, A. E., Stein, D. J., Vanderschuren, L. J., Gillan, C. M., ... Denys, D. (2014). New developments in human neurocognition: clinical, genetic, and brain imaging correlates of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CNS spectrums, 19(01), 69-89.

32.

Fineberg, N. A., Potenza, M. N., Chamberlain, S. R., Berlin, H. A., Menzies, L., Bechara, A., ... Hollander, E. (2010). Probing compulsive and impulsive behaviors, from animal models to endophenotypes: a narrative review. Neuropsychopharmacology, 35(3), 591-604.

33.

Grant, J. E., Brewer, J. A., & Potenza, M. N. (2006). The neurobiology of substance and behavioral addictions. CNS spectrums, 11(12), 924-930.

34.

Gullo, M. J., Loxton, N. J., & Dawe, S. (2014). Impulsivity: Four ways five factors are not basic to addiction. Addictive behaviors, 39(11), 1547-1556.

35.

Hamilton, K. R., Littlefield, A. K., Anastasio, N. C., Cunningham, K. A., Fink, L. H., Wing, V. C., ... Lejuez, C. W. (2015). Rapid-response impulsivity:definitions, measurement issues, and clinical implications. Personality Disorders: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6(2), 168-181.

36.

Hamilton, K. R., Mitchell, M. R., Wing, V. C., Balodis, I. M., Bickel, W. K., Fillmore, M., ... Mathias, C. W. (2015). Choice impulsivity:Definitions, measurement issues, and clinical implications. Personality Disorders: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6(2), 182-198.

37.

Ko, C. H., Liu, G. C., Hsiao, S., Yen, J. Y., Yang, M. J., Lin, W. C., ... Chen, C. S. (2009). Brain activities associated with gaming urge of online gaming addictio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3(7), 739-747.

38.

Logan, G. D., Russell, J. S., & Rosemary, T. (1997). Impulsivity and Inhibitory Control. Psychological Science, 8, 60-64.

39.

McClure, J., Podos, J., & Richardson, H. N. (2014). Isolating the delay component of impulsive choice in adolescent rats.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8(3), 1-9.

40.

Miedl, S. F., Büchel, C., & Peters, J. (2014). Cue-induced craving increases impulsivity via changes in striatal value signals in problem gamblers. Journal of Neuroscience, 34(13), 4750-4755.

41.

Potenza, M. N., & De Wit, H. (2010). Control yourself:alcohol and impulsivity.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4(8), 1303-1305.

42.

Reynolds, B., & Schiffbauer, R. (2004). Measuring state changes in human delay discounting: an experiential discounting task. Behavioural Processes, 67(3), 343-356.

43.

Reynolds, B., Ortengren, A., Richards, J. B., & de Wit, H. (2006). Dimensions of impulsive behavior:Personality and behavioral measur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2), 305-315.

44.

Robbins, T. W., & Clark, L. (2015). Behavioral addictions.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30, 66-72.

45.

Robbins, T. W., Gillan, C. M., Smith, D. G., de Wit, S., & Ersche, K. D. (2012). Neurocognitive endophenotypes of impulsivity and compulsivity:towards dimensional psychiatr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6(1), 81-91.

46.

Rubia, K., Russell, T., Overmeyer, S., Brammer, M. J., Bullmore, E. T., Sharma, T., ... Taylor, E. (2001). Mapping motor inhibition: conjunctive brain activations across different versions of go/no-go and stop tasks. Neuroimage, 13(2), 250-261.

47.

Swick, D., Ashley, V., & Turken, U. (2011). Are the neural correlates of stopping and not going identical? Quantitative meta-analysis of two response inhibition tasks. Neuroimage, 56(3), 1655-1665.

48.

Verbruggen, F., Logan, G. D., & Stevens, M. A. (2008). STOP-IT: Windows executable software for the stop-signal paradigm. Behavior Research Methods, 40(2), 479-483.

49.

Winstanley, C. A., Dalley, J. W., Theobald, D. E., & Robbins, T. W. (2004). Fractionating impulsivity:contrasting effects of central 5-HT depletion on different measures of impulsive behavior. Neuropsychopharmacology, 29(7), 1331-134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