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변인인 내적 속박감과 반추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대학생 우울의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자기비난 척도, 통합적 한국판 우울 척도, 내적 속박감 척도,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비난은 우울, 내적 속박감, 반추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은 내적 속박감, 반추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내적 속박감과 반추 또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적 속박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대학생의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 속박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반추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대학생의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비난적인 대학생의 우울 예방과 치료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nd prepare basic data that could be helpful in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data from 354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elf-criticism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Internal Entrapment Scale(IES), and the Korean-Ruminative Response Scale(K-RRS) were used as measurements. Using the SPSS 21.0 pack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ritic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and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Also, internal entrap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Second, internal entrapment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Lastly, rumination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강민철, 조현주, 이종선 (2013). 우울, 불안, 수치심, 자살사고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5(4), 873-896.
강재연 (2016). 마음챙김-자기자비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비판 성향을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 감정 기복 심한 기분장애‘조울증’, 40%가 40~50대 중년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도자료,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9221&pageIndex=1에서 2017, 11, 18 인출.
권희영, 홍혜영 (2010).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023-1048.
김가희, 송원영 (2016).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861-875.
김내환 (2016).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 자기비난과 반추의 연속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대현 (2016).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관계: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속박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정, 진민진, 현명호 (2016). 대학생의 시기심과 우울의 관계: 낙관성에 의해 조절된 후회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1), 91-106.
김빛나, 임영진, 권석만 (2010).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73-596.
김선혜 (2014). 스트레스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소정, 권정혜, 양은주, 김지혜, 유범희, 이동수 (2013).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확인적 요인분석: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 13(1), 133-147.
김소정, 김지혜, 윤세창 (2010).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19.
김송희 (2015). 대학생의 속박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성향적 낙관성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정미, 조현재 (2009).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 및 의존성의 역할. 한국청소년연구, 20(2), 283-306.
김정호 (2015).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관계: 내적속박감과 외적속박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지삼 (2014). 청소년 후기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및 자살생각의 관계. 복지상담교육연구, 3(1), 95-112.
김치중 (2016, 5, 31). 괜히 괴롭고 초조하고… ‘大2병’을아시나요.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47b20246abc54d32a8ac4656c42911e9에서 2016, 12, 5인출.
김효정 (2011).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 분노억제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노명선, 전홍진, 이해우, 이효정, 한성구, 함봉진 (2006).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한 연구 :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신경정신의학, 45(5), 432-437.
박 경 (2010).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상위인지와 마음챙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5(4), 617-634.
박세희 (2016). 자기비난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영주, 신나미, 한금선, 강현철, 천숙희, 신현정 (2011). 서울시내 인문계 고등학생의 우울 실태 및 속박감의 매개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1(5), 663-672.
손은정 (2011).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165-183.
신혜원 (2015).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내적 속박감의 연속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은주 (2010). 청소년을 위한 우울 예방 프로그램이 우울, 자살생각, 역기능적 태도 및 부정적 자동화 사고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유은영, 윤치근, 양유정 (2012).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1), 274-283.
이문선, 이동훈 (2014).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973-992.
이소연, 신민섭, 김은정 (2010). 반추적·반성적·경험적자기초점화가 우울 기분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0(1), 75-95.
이소영, 조현주, 권정혜, 이종선 (2014). 패배감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인식과 속박감의 순차중다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2), 285-303.
이은지 (2015). 반추와 사고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신경증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은지, 서영석, 고은영, 이소연, 최바올 (2013).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살사고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5(1), 63-81.
이종선, 강민철, 조현주 (2012). 외적 속박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4), 883-905.
이종선, 조현주 (2012).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239-259.
이종현 (2016). 마음챙김 명상이 우울한 개인의 주의통제, 탈중심화, 반추 및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전선영, 김은정 (2013). 대학생의 반추 하위유형들(몰두와 반성)과 우울 증상 간의 관계: 회피의 매개 효과. 인지행동치료, 13(2), 285-306.
전현숙, 손정락 (2012). 스트레스와 역기능적 분노간의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분노반추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4), 907-922.
정하나 (2014). 주요우울장애 경도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조재임 (1996). 우울의 두 차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현주, 현명호 (2011).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조혜수, 권영민 (2009). 아동 및 청소년용 우울경험질문지(DEQ-A)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3), 145-167.
천숙희 (2012).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속박감 및 정신건강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8(3), 223-235.
최윤영, 조현주, 권정혜, 이종선 (2013). 우울취약성과자살사고의 관계: 속박패배감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3(3), 423-443.
최정, 차보경 (2014). 대학생의 학습된 무력감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3), 509-521.
Abi-Habib, R., & Luyten, P. (2013). The role of Dependency and Self-Crit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5(8), 921-925.
Aldao, A., & Nolen-Hoeksema, S. (2012). When are adaptive strategies most predictive of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21(1), 276-281.
Barnard, P. J. (2004). Bridging between basic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2(9), 977-100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latt, S. J. (2004). Experiences of depression:Theoretical, 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latt, S. J., D'Afflitti, P., & Quinlan, D. M. (1976). Experience of depression in normal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 383-389.
Blatt, S. J., & Homann, E. (1992). Parent-child interaction and the etiology of dependent and self-critical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1), 47-91.
Blatt, S. J., & Zuroff, D. C. (1992).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self-definition: Two prototypes for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5), 527-562.
Brown, G. W., Harris, T. O., & Hepworth, C. (1995). Loss, humiliation and entrapment among women developing depression: a patient and non-patient comparison. Psychological Medicine, 25(1), 7-21.
Carvalho, S., Pinto-Gouveia, J., Pimentel, P., Maia, D., Gilbert, P., & Mota-Pereira, J. (2013). Entrapment and Defeat Perceptions in depressive symptomatology: Through an evolutionary approach. Psychiatry: Interpersonal & Biological Processes, 76(1), 53-67.
Cola, L., Samuel, H., & Steven, H. (2010). The effects of 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on the prediction of negative attributional Style among college stud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4(2), 116-123.
Dunkley, D. M., Zuroff, D. C., & Blankstein, K. R.(2006). Specific perfectionism components versus self-criticism in predicting maladjust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4), 665-676
Gilbert, P., & Allan, S. (1998).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 (arrested fligh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of an evolutionary view. Psychological Medicine, 28(3), 585-598.
Gilbert, P., Cheung, M., Irons, C., & McEwan, K. (2005). An exploration into depression-focused and anger-focused rumination in relation to depression in a student population.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33(3), 273-283.
Gilbert, P., & Gilbert, J. (2003). Entrapment and arrested fight and fligh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using focus groups. Psychological Psychotherapy, 76(2), 173-188.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Guilford Press.
Just, N., Abramson, L. Y., & Alloy, L. B. (2001). Remitted depression studies as tests of the cognitive vulnerability hypotheses of depression onset: A critique and conceptual 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1(1), 63-83.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New York: Bantam Deli.
Luyten, P., Sabbe, B., Blatt, S. J., Meganck, S., Jansen, B., De Grave, C. . . . Corveleyn, J. (2007). Dependency and self-criticism:Relationship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everity of depression, and clinical presentation. Depression and Anxiety, 24(8), 586-596.
Lyubomirsky, S., & Nolen-Hoeksema, S. (1995). Effects of self-focused rumination on negative thin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1), 176-190.
Neff, K. D.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Nolen-Hoeksema, S., & Aldao, A. (2011).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st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depressive sympto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51(6), 704-708.
Nolen-Hoeksema, S., Larson, J., & Grayson, C. (1999). Expla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5), 1061-1072.
Nolen-Hoeksema, S., & Morrow, J., & Fredrickson, B. L. (1993). Responses styles and the duration of episodes of depressed moo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1), 20-38.
Nolen-Hoeksema, S., Wisco, B. E., & Lyubomirsky, S. (2008). Rethinking rumination.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5), 400-424.
O’Connor, R. C., & Noyce, R. (2008). Personality and cognitive processes: Self-criticism and different types of rumination as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6(3), 392-401.
Powers, T. A., Zuroff, D. C., & Topciu, R. A. (2004). Covert and overt expressions of self-criticism and perfectionism and their relation to depress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8(1), 61-72.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Raes, F. (2010). Rumination and worry as mediator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8(6), 757-761.
Robinson, M. S., & Alloy, L. B. (2003). Negative cognitive styles and stress-reactive rumination interact to predict depression: A prospective stud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3), 275-292.
Safran, J. D., & Segal, Z. V. (1990). Cognitive therapy: An interpersonal process perspective. New York: Basic.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relapse prevention. NewYork: Guilford.
Stange, J. P., Boccia, A. S., Shapero, B. G., Molz, A. R., Flynn, M., Matt, L. M., . . . Alloy, L. B. (2013). Emotion regulation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vulnerabilities interact to predict depressive symptoms in individuals at risk for bipolar disorder: A prospective behavioural high-risk study. Cognition & Emotion, 27(1), 63-84.
Sturman, E. D., & Mongrain, M. (2005). Self-criticism and major depressio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4), 505-519.
Sturman, E. D., & Mongrain, M. (2008). The role of personality in defeat: a revised social rank model.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2(1), 55-79.
Spasojević, J., & Alloy, L. B. (2001). Rumination as a common mechanism relating depressive risk factors to depression. Emotion, 1(1), 25.
Taylor, P. J., Gooding, P. A., Wood, A. M., & Tarrier, N. (2011).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 in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e. Psychological Bullentin, 137(3), 391–420.
Thompson. R., & Zuroff. D. C (2004). The Level of Self-Criticism Scale: Comparative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elf-critic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2), 419-430.
Treynor, W., Gonzalez, R., & Nolen-Hoeksema, S. (2003). Rumination reconsidered: A psychometric analy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3), 247-259.
Watkins, E., & Moulds, M. (2005). Distinct modes of ruminative self-focus: Impact of abstract versus concrete rumination on problem solving in depression. Emotion, 5(3), 319-3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2004_report_update/en/에서 2017, 1, 2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