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by considering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s mediating variables; the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ocial anxiety experienced by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behavioral inhibitio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al dysregulation, social anxiety were administered to 399 adults throughout in the whole countr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 analysis used SPSS 21.0, AMOS 21.0.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In additio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The major results are follows. Firs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directly impacted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indirectly affecte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Third, a multipl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between behavior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Fourth, a multipl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s well as future study direction.
강민지, 김광웅 (2008).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에따른 청소년의 사회불안: 또래관계의 중재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16(1), 87-101.
김교헌, 김원식 (2001).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BAS/BIS)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19-37.
김소연 (2014). 행동억제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청소년의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불안통제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송아 (2008).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아리 (2011). 정서 조절 방식이 불안정 애착 성인의정서 및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유경 (2004). 청소년의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따른 인지적 특성: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윤아 (2014).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초기 성인기사회불안의 관계: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정 (2016). 이상심리학 시리즈 사회불안장애. 서울:학지사.
김정민 (2006). 청소년의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상담학회지, 7(2), 541-556.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지은 (2013). 청소년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영향: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혜지 (2014). 내현적 자기애, 수치심, 우울이 대학생의폭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도현정 (2013). 여자 청소년의 행동억제기질과 섭식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체형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류아영, 유순화, 윤경미 (2014).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심리적 통제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2, 135-155.
박성연, 이은경 (2009).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아동학회지, 30(2), 211-229.
박신영 (2014).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 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역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백민정 (2014). 중학생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변경란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행동억제기질이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기개념과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경현, 유제민, 안경미 (2008). 초등학생 사회불안의 예측모형: 행동억제,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을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675-693.
손정아, 권정혜 (2001). 사회공포증이 있는 청소년들의인지행동집단치료 효과. 인지행동치료, 1(1), 77-92.
송은영, 하은혜 (2005).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8(1), 41-56.
안명희 (2010).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 한국심리학회지, 29(4), 867-885.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Ⅰ: 행동억제 기질, 부모 양육 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557-576.
오유미 (2016).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과 성인기대인외상의 관계: 해리경험, 관계중독,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은혜, 노상선, 조용래 (2009).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과 정서조절 곤란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9(10), 75-89.
유승재 (2014). 자기몰입과 사회불안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유태정, 김석선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4(2), 127-135.
윤은영, 이지연 (2016).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2(3), 191-213.
이유리 (2012). 행동 억제/활성화 체계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정서인식 명확성을 조절변인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주영 (2009). 부모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청소년기사회적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동적 사고를 매개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이시은, 이재창 (2005). 대학생의 애착유형, 부모·또래애착, 그리고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47-963.
이현주 (2008).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임지연 (2000). 역기능적 신념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임수지, 김소정, 권정혜 (2016). 사회불안장애 인지행동집단치료에서의 치료 반응자 특성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309-333.
전미숙, 손은정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1(2), 19-27.
정문경, 오은주 (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에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4(2), 83-93.
조용래 (1999).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공포증상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검증: 구조방정식모델 접근법을 사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8(1), 17-36.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조현철, 강석후 (2007).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17(3), 133-153.
최미미 (2008).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과 행동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신념과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혜숙 (2012).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가 긍정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허유정 (2002). 청소년의 행동억제 기질과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이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허재홍 (2006). 사회불안 치료기제 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Albano, A. M., Dibartolo, P. M., Holt, C. S., Heimberg, R. G., & Barlow, D. H. (1995).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for social phobia in adolescents: A preliminary stud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3, 649-65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pp. 15-5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arlow, D. H. (2002). Anxiety and its disorders: The nature and treatment of anxiety and panic. New York: Guilford.
Biederaman, J., Rosenbaum, J. F., Bolduc-murphy, E. A., Faraone, S. V., Chaloff, J., Hirshfeld, D. R., & Kagan, J. (1993). A 3-year follow-up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behavioral inhibit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2(4), 814-821.
Biederman, J., Rosenbaum, J. F., Hirshfeld, D. R., Faraone, S. V., Bolduc, E. A., Gersten, M., & Reznick, J. S. (1990). Psychiatric correlates of behavioral inhibition in young children of parents with and without psychiatric disorder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1), 21-26.
Buckholdt, K. E., Parra, G. R., & Jobe-Shields, L. (2009).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Socialization and Deliberate Self‐Har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9(4), 482-490.
Butler, G., & Mathews, A. (1983). Cognitive processes in anxiety. Advances i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5, 51-62.
Calkins, S. D., & Fox, N. A. (1992). The relations among infant temperament, security of attach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at twentyfour months. Child development, 63(6), 1456-1472.
Carver, S. C., & White, T. L. (1994). Behavioral inhibition, behavioral activation, and affective responses to impending reward and punishment:The BIS/B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319–333.
Gallagher, H. M., Rabian, B. A., & Mccloskey, M. S. (2004). A brief group cognitive-behavior intervention for social phobia in childhood.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8, 459-479.
Glass, C. R., Merluzzi, T. V., Biever, J. L., & Larsen, K. H. (1982). Cognitive assessment of social anxie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 statement questionnai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6, 37-55.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 41-54.
Greenberg, L. S., Rice, L., & Elliott, R. (1993). Process-experiential therapy: Facilitating emotional change. New York: Guilford.
Hayward, C., Varady, S., Albano, A. M., Thienemann, M., Henderson, L., & Schatzberg, A. F. (2000).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ocial phobia in female adolescents: Results of a pilot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9, 721-726.
Kagan, J. Reznick, J. S., & Snidman, N. (1988). Biological bases of childhood shyness. Science, 240, 117-256.
Mattick, R. P., &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 of social Phobia and Scrutin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 455-470.
Melamed, S. (1987). Emotional reactivity and elevated blood pressure. Psychosomatic Medicine, 49(3), 217-225.
Schwartz, C., Snidman, N., & Kagan, J. (1999). Adolescent social anxiety as an outcome of inhibited temperament in childhoo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8(8), 1008-1015.
Soenens, B., & Vansteenkiste, M. (2007, March). Distinguishing among types of psychological control: seperation-anxious versus achievementorietned psychological control. In A. Assor (Chair), Disentangling the construct of parental control: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Symposium conduc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on Child Development (SRCD), Boston, MA.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