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독자의 회복유지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적 상담모형

A New Paradigm for Maintaining Recovery for Addicts: Korean Counseling Model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2, pp.293-326
https://doi.org/10.17315/kjhp.2018.23.2.001
박상규 (꽃동네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중독자의 회복 유지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한국적 상담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 불교, 도교 등의 한국사상과 한, 흥, 권위, 우리성 등의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이 중독과 관련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상담의 주요 개입법은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 자기성찰하기, 가족을 중심으로 한 관계기술배우기, 흥겹게 살기, 가족교육과 상담, 잘 회복 중인 사람과 인연 맺어주기, 상담 후 사후관리 등이다. 한국적 상담모형에서 가장 주요한 요인은 상담자의 태도이다. 상담자에게 필요한 태도는 중독자 존중하기, 공감 잘하기, 양육자 및 교육자로서 관계형성하기, 중독자의 강점 강화하기, 인내, 상담자의 마음챙김 등이다. 특히 마음챙김은 중독자의 회복과 상담자의 태도에서 핵심이 된다. 본 연구는 중독자의 회복 유지를 위해 삶의 태도를 바꾸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개입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ddiction, recovery of addiction, korean counseling model, mindfulness, 중독, 회복, 한국적 상담모형, 마음챙김

Abstract

This study is a new approach using the Korean counseling model to provide recovery maintenance for addicts. The paper is centered around how traditional Korean ideology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s well 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uch as resentment, joy, authority, and we-ness are all related to each other. With mindfulness as the center, the major intervention skills used in counseling include relating to others, teaching clients to live cheerfully, providing family education & counseling, engaging with a well-recovering person, and providing follow-up counseling. The most crucial trait of the Korean psychological model is the attitude of a counselor. A counselor needs to be able to give respect an addict, show sympathy, build a relationship as a supporter and educator, and reinforce the strengths of an addict; the counselor should also demonstrate, patience, and mindfulness. Mindfulness is key for both the recovery of an addict and the attitudes of counselor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various types of interven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attitudes of addicts toward their lives in order to help them maintain addiction recover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aper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eywords
addiction, recovery of addiction, korean counseling model, mindfulness, 중독, 회복, 한국적 상담모형, 마음챙김

참고문헌

1.

곽신환 (2017). 주역의 지혜. 서울: 서광사.

2.

권석만 (2014).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3.

김갑중 (2007). 예 치료공동체- 구성주의와 수양론적 접근 경험-.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중독증 전문치료센터 네트워크, 43-55.

4.

김갑중, 김종성 (2005). 알코올 중독의 우리 전통 행동·인지 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5.

김병환 (2017). 김병환교수의 동양윤리사상 강의. 서울: 세문사.

6.

김선진 (2009). 단주중인 알코올중독자와 가족들이 경험한 가족기능회복과정. 한국 사회복지 질적연구, 3(1), 63-100.

7.

김재웅 (2016). 닦는마음 밝은마음. 서울: 도서출판 용화.

8.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9.

김진실, 이봉건 (2012).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289-304.

10.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2005).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11.

김한오 (2015). 12단계 중독치료 워크북. 나의 12단계. 서울: 눈출판그룹.

12.

박상규 (2007). 마약류 중독 치료에 있어서의 동양적 수행법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15-732.

13.

박상규 (2012). 인지행동상담에서 치료자의 마음챙김의 역할. 상담학연구, 13(4), 1631-1647.

14.

박상규 (2016a). 중독자의 회복과정에서 한국적 수행법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85-104.

15.

박상규 (2016b). 중독과 마음챙김. 서울: 학지사.

16.

박상규 (2017). 도박중독회복에서 영성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2(2), 61-74.

17.

박상규, 손명자 (2000).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629-643.

18.

박성희 (2003).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19.

박성희, 이동렬 (2008). 한국문화와 상담. 서울: 학지사.

20.

백지연, 김명권 (2005).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치료적 가치: 사띠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6(2), 665-685.

21.

백형의, 한인영 (2014).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3), 151-177.

22.

서광스님 (2016). 현대심리학으로 풀어본 유식 30송. 서울: 불광출판사.

23.

여천 무비 (2017). 법화경 법문 이것이 법화경이다. 서울: 담엔북스.

24.

오지섭 (2008). 세계화 시대 한국문화의 정체성 - 한국종교의 조화와 공존적 특성을 중심으로. 인간연구, 14, 7-33.

25.

오창홍, 박상규, 박정환, 오인자 (2016). 숲 환경이 인터넷 중독 치료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489-499.

26.

우재희 (2014). 남·여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298-307.

27.

유권종 (2003). 퇴계의 예 교육과 인격형성의 원리. 유교사상연구, 8, 33-65.

28.

유민봉, 심형인 (2013).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합의이론을 통한 범주의 발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57-485.

29.

윤사순 (2016). 근본원리로 살핀 한국의 유학사상. 서울: 두양사.

30.

윤종모 (2017). 넓이와 깊이. 서울: 도서출판 심상코.

31.

이동식 (2008). 도정신치료 입문. 서울: 도서출판 한강수.

32.

이병혁 (2013). 라깡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한(恨). 사회와이론, 22, 7-42.

33.

이재호, 최상진 (2003). 문화적 개념의 인지표상과 활성화 과정: 한(恨)의 담화분석과 온라인 점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1), 1-16.

34.

이정수 (2010). 불교의 팔정도와 위빳사나 명상의 아동교육적 함의. 종교교육학연구, 33, 299-323.

35.

이중표 (2016). 니까야로 읽는 금강경. 서울: 민족사.

36.

이형득 (2003). 본성실현상담. 서울: 학지사.

37.

장성숙 (2004). 한국문화에서 상담자의 초점: ‘개인중심’ 또는 ‘역할중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5-27.

38.

장성숙, 노기현 (2016). 한국인의 상담 이야기. 현실역동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9.

장정연 (2014). 중독행동에서 인지행동접근과 대안에 관한 소론. 글로벌사회복지연구, 4(1), 27-44.

40.

정영호 (2005). 내 삶의 지팡이 근사록. 서울: 자유문고.

41.

정선훈 (2015). “가련한 인생” vs “소중한 존재” : 긍정심리학을 통한 회복 중인 알코올 중독자 내러티비 분석. 연세상담코칭연구, 1, 159-181.

42.

조석환 (2016). ‘구용․구사’의 인성교육적 의미와 활용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1, 309-338.

43.

조현균 (2017). 동양의 지혜를 찾아서. 서울: 도서출판 책과나무.

44.

조현섭, 조성민, 차진경 (2008). 숲 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 미치는 치유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727-743.

45.

주영하, 강신주, 강명관, 고미숙, 김교빈, 이태호, 윤구병 (2011). 한국학의즐거움. 서울: 휴머니스트출판그룹.

46.

주은선, 이혜경, 주은지 (2007). 한국적 인본주의 상담모형 모색 : 인본주의 상담자들의 자기-보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69-586.

47.

차경남(2017). 인문학으로 만나는 몸공부. 서울: 글라이더.

48.

차진경, 김성재 (2009). 숲 체험을 통한 알코올의존자의 치유경험. 대한간호학회지, 39(3), 338-348.

49.

차진경, 김성재, 천덕희 (2016). 성인아이 특성이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 경험.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4), 99-111.

50.

최경희 (1998). 상담자역할의 재정립을 위한 동·서 심리학적 접근 - 정신역동적 상담과 보현행원품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1), 91-119.

51.

최상진, 윤호균, 한덕웅, 조긍호, 이수원 (1999). 동양심리학. 서울: 지식산업사.

52.

최송식 (2013). 한국사회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 48, 307-348.

53.

최연실 (1999). 동양사상에 나타난 상담적 요소의 분석-불교와 노자 사상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12, 1-18.

54.

최연희 (2016).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마음챙김과 치료관계 간의 동태적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17(3), 121-143.

55.

최일범 (2015). 조선성리학에서 양생과 수양-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42, 37-64.

56.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원로 연구팀 (2016). 한국상담원로의 상담자로서의 삶. 서울: 학지사.

57.

한수산 (2017). 주역혁명. 서울: 삶과 지식.

58.

현택수 (2004). 문화의 세계화와 한국문화의 정체성- 비언어극 <난타> 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 175-199.

59.

황선정, 조성호 (2011). 인간 이해와 심리치료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인간연구, 21, 141-184.

60.

Capuzzi, D., & Stauffer, M. D. (2012). 중독상담. (신성만, 김성재, 김선민, 서경현, 전영민, 권정욱, 이은경, 박상규, 김원호, 박지훈, 손슬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에 출판)

61.

Garland, E. L., Howard, M. O., Priddy, S. E., McConnell, P. A., Riquino, M. R., & Froeliger, B. (2016). Mindfulness training applied to addiction therapy: insights into the neural mechanism of positive behavioral change. Neuroscience and Neuroeconomics. 5, 55-63.

62.

Joseph, S. (2018). 외상 후 성장의 과학. (임선영, 김지역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63.

Silva, P. D. (2017). 불교상담학 개론. (윤희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4에 출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