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직무 스트레스 대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ACT 개념을 토대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Stress Coping Scale: Based on AC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2, pp.427-446
https://doi.org/10.17315/kjhp.2018.23.2.007
정혜경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가 발생하였을 때, 직접적으로 스트레스원을 제거하는 방법의 한계점을 확인하고, 스트레스원 자체를 받아들임으로써 대처할 수 있도록 ACT개념을 반영한 직무스트레스 대처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CT 전문가인 박사 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문항들을 내용분석하여 총 31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예비문항을 직장인 201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의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6개의 문항과 4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ACT를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대처 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준거관련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직무 소진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서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이 4개 요인은 소진의 하위요인인 직업효능감 감소와만 부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되어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가 일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ACT, 수용-전념,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척도 개발, ACT, Acceptance action treatment, job stress, stress coping, scale develop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the method of immediately removing stressors job stress occurs and this study also aimed to develop a method to job stress coping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the origin of the stress, which is concept of ACT(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First, We conducted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of 9 Ph.D students with expert knowledge on ACT - analyzed the collected items, and selected 31 preliminary items reflected on the stress scale.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201 employees.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15 items with 4 factors were obtained.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and analyz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00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b stress coping scale consisted of four factors(job stress acceptance, job stress consciousness, value recognition, goal commited behavior). Also, the sca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 accomplishment personal accomplishment factor but not to emotional exhaustion or the depersonalization factor.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co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keywords
ACT, 수용-전념,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척도 개발, ACT, Acceptance action treatment, job stress, stress coping, scale development

참고문헌

1.

김남정 (2013).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감정노동자의 직무소진, 경험회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인구 (2008). 심리적 수용과 직무스트레스: 직장인용 ACT프로그램 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인구, 김완석 (2008). Bond 심리적 수용 검사척도(AAQ)에 대한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815-832.

4.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채순 (2012). 수용전념 및 인지행동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증, 심리적 수용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현주 (2016, 11, 12). “직장인들 건강 적신호···10명중 9명 각종 질병 앓는다”.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61112000372에서 2017, 06, 10 인출.

7.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신강현 (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진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6(3), 1-7.

9.

신혜진 (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Coping Strategy Indicator)의 타당화 연구-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온라인 뉴스부 (2016, 11, 23). “직장인 92% 회사에서 나는 을!”.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123500012&wlog_tag3=naver에서 2017년 6월 12일 인출.

11.

임광모 (2015).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무통제와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임광모, 탁진국 (2016).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무통제와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9(2), 61-83.

13.

최영민, 이정호, 이기철 (1996).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장인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5(6), 1376-1385.

14.

최해진, 권혁기 (2008).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건설업종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1, 1723-1749.

15.

탁진국 (2008).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의해- 제2판. 서울: 학지사.

16.

한상철 (200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 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1-21.

17.

Billing, A. G., & Moos, R. H.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2), 139-157.

18.

Bond, F. W., & Bunce, D. (2000). Mediators of change in emotion-focused and problem-focused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56.

19.

Bond, F. W., & Bunce, D. (2003). The role of acceptance and job control in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6), 1057.

20.

Bond, F. W., Hayes, S. C., & Barnes-Holmes, D. (2006). Psychological flexibility, AC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6(1), 25-54.

21.

Campbell, D. T., & Fiske, D. W. (1959).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Psychological Bulletin, 56(2), 81-105.

22.

Cooper, C. L., & Marshall, J. (1976).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il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49(1), 11-28.

23.

Cordova, J. V., & Kohlenberg, R. J. (1994). Acceptance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125-140.

24.

Dougher, M. J., & Hackbert, L. (1994). A behavior-analytic account of depression and a case report using acceptance-based procedures. The Behavior Analyst, 17(2), 321.

25.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

26.

Hayes, S. C., Luoma, F.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 1-25.

27.

Hayes, S. C., Lilis, J., Bunting, K., Herbst. S., & Fletcher, L. B. (2009).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mental health stigma i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 preliminary process investigation. Behavior and Social issues, 18, 25-40.

28.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29.

Lazarus, R. S. (1993). Coping theory and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Psychosomatic Medicine, 55(3), 234-247.

3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31.

Moss, R. H., & Billings, A. G. (1982).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In L. Goldberger and S. Breznitz (Eds.),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pp. 212-230). New York, NY: Free Press.

32.

Parasuraman, S., & Alutto, J. A. (1981). An examination of the organizational antecedents of stress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1), 48-67.

33.

Pines, A., & Aronson, E. (1988).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34.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 813-819.

35.

Scahufeli, W. B., Leiter. M. P., Maslach. C., & Jackson, S. E. (1997).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3rd Eds). Evaluating Stress: A Book of Rescoures (pp.191-218). Pulisfer: The Scarecrow P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