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참여자는 경남, 경북 지역의 대학생 및 일반인 266명이었다(평균 연령 21.68세, 남성 135명, 여성 131명). 이들을 대상으로 Conners 성인 ADHD 척도(K-CAARS),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자기격려 척도, 한국 우울증 척도(KDS)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통해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인 ADHD 성향은 정서조절곤란, 우울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자기격려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은 정서조절곤란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격려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각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한 결과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지만 간접적으로도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격려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성인 ADHD 성향이 우울에 이르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고 볼 수 있겠다. 이에 더해, 성인 ADHD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우울문제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Participants included 266 college students and non-students (mean age 21.68 years, male 135, female 131) in the Gyeongnam and Gyeongbuk areas.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nners ADHD scale (K-CARRS), the Korean version of the K-DERS scale, the self-encouragement scale, and the Korean depression scale (KD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 analyzed whether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is medated when adult ADHD tendencies affects depression. As a result, Adult ADHD tendenci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ncouragement. Also,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dysregula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ncouragemen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This suggest that Adult ADHD tendencies directly affects depression but indirectly affectc throug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This study confirms the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between the Adult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in auldt ADHD. This paper also dicus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권석만 (2012).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 길. 서울: 학지사.
김영혜 (2005). 주의력 결핍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정서적 특성 비교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진구 (2016, 9, 2). 성인 ADHD도 건강보험 적용, 치료제 급여 확대. 중앙일보. http://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17524에서 2018, 1, 22 자료 얻음.
노안영, 정민 (2007).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75-692.
박미라 (2017, 9, 11). 성인 ADHD 환자 70% 공존질환경험. 메디칼업저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997에서 2018, 1, 24 자료 얻음.
박은정 (2009). 고등학생의 자기격려-낙담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정수, 이원혜, 이소라, 김설민, 반건호 (2013).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Conners 성인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평정의 신뢰도 및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52, 342-352.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송다혜 (2012). 아동의 자기격려가 정서 인식·표현과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누리 (2014). 성인 ADHD 증상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서자각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민수, 이민규 (2003). 한국우울증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42(4), 492-506.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8(3), 461-493.
장미자 (2004). 성인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의 특징과 교육적인 중재전략. 교육발전연구, 20(2), 43-57.
정인철 (2012).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격려, 자기낙담,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667-693.
Biederman, J., Faraone, S. V., Monuteaux, M. C., Bober, M., & Cadogen, E. (2004). Gender affects o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revisited. Biological Psychiatry, 55(7), 692-700.
Cho, Y., & Hong, S. (2013). The new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incorporating method fact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6(3), 192-201.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Daviss, W. (2008). A review of co-morbid depression in pediatric ADHD: etiologies, phenomenology, and treatment.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opharmacology, 18(6), 565-571.
Donfrancesco, R., Di Trani, M., Gregori, P., Auguanno, G., Melegari, M. G., Zaninotto, S., & Luby, J. (2013).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alexithymia: a pilot study.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s 5(4), 361-367.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i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Meinzer, M. C., Lewinsohn, P. M., Pettit, J. W., Seeley, J. R., Gau, J. M., Chronis-Tuscano, A., & Waxmonsky, J. G. (2013).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olescence predicts onse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through early adulthood. Depression and Anxiety, 30(6), 546-553.
Michielsen, M., Comijs, H. C., Semeijn, E. J., Beekman, A. T., Deeg, D. J., & Sandra Kooij, J. (2013). The comorbidity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48(2), 220-227.
Seymour, K. E., Chronis-Tuscano, A., Iwamoto, D. K., Kurdziel, G., & MacPherson, L. (2013). Emotion Regulation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DHD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Community Sample of Youth. Journal abnormal Child Pyshcology, 42(4), 611-621.
Simon, V., Czobor, P., & Bitter, I. (2013). Is ADHD severity in adults associated with the lifetime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ve episodes and anxiety disorders?. European Psychiatry, 28(5), 308-314.
Vincent, A. (2012). 실수투성이 당신. “성인 ADHD 성향 ?” (안동현 외 옮김). 서울: 한울림 스폐셜. (원전은 2011에 출판).
Young, S., Bramham, J., Gray, K., & Rose, E. (2008). The experience of Receiving a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HD in Adulthood.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 11(4), 493-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