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침습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과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

The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Indirect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Deliberate Rumina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3, pp.785-800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10
고은심
이민규 (경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이론을 바탕으로 침습적 반추, 정서조절방략 그리고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과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대∼60대 성인 남녀 401명을 대상으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정서조절방략에 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검토하였고,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및 간접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정서조절방략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반추는 정서조절방략과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정서조절방략, 외상 후 성장,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posttraumatic growth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emotion regul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s mediating variable, along with an examination of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trauma experienced by adults in Korean socie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traumatic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event-related rumin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administered to 401 adults in the whole countr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 analysis using SPSS 21.0, AMOS 21.0.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In addition,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deliberate ruminat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indirectly affected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deliberate rumination have indirectly affected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multiple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deliberate thoughts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resent study, few suggestions and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are discussed.

keywords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정서조절방략, 외상 후 성장,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posttraumatic growth

참고문헌

1.

곽아름 (2015).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고통제방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지애, 이동귀 (2012). 외상 후 성장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상담학연구, 13(4), 1845-1859.

3.

김진수, 서수균 (2012). 친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4.

박은혜 (2016).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간의 구조적 관계.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6.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7.

손재민 (2005). 정서조절방략 사용에서의 개인차.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안현의, 주혜선, 민지원, 심기선 (2013).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11.

오유미 (2016).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과 성인기 대인외상의 관계: 해리경험, 관계중독,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지영, 권석만 (2007). 청소년의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 개발: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임상, 26(4), 963-976.

14.

이지영 (2014). 반추 양식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정서 및 인지적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16.

임선영 (2015). PTGI 영적 변화 요인(spirityal change) 의 심리측정적 이질성: 성장에 대한 인식과 종교변인에 따른 비교. 인지행동치료, 15(2), 377-400.

17.

조영일 (2015). 임상 연구에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 및 통합: 개념 정의 및 통계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113-1131.

18.

조한로 (2016).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및 정서인식 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최혜숙 (2012).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가 긍정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Cann, A., Calhoun, L. G., Triplett, K. L., Vishnevsky, T., & Lindstorm, C. 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4(2), 137-156.

22.

Calhoun, L. G., & Tedischi, R. G.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 practic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3.

Garnefski, N., & Kraakj, V. (2006).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development of a short 18-item version (CERQ-s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6), 1045-1053.

24.

Greenberg, L. S.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r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271-299.

26.

Maercker, A., & Zoellner, T.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 ward two-component model of poss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 41-48.

27.

McCoy, C. L., & Masters, J. C. (1990). Children’s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emotion in themselves and others. In B. S. Moore & A. M. Isen (Eds.), Affect and social behavior (pp. 231-26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1.

29.

Tedeschi, R. G., Park, C., & Calhoun, L. G. (1998). Poss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 math of crisis. New Jersey : Laqrence Erlbaum Associate.

30.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18.

31.

Triplett, K. N., Tedeschi, R. G., Cann, A., Calhoun, L. G., & Reeve, C. L. (2012).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4(4), 400-4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