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Inter 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Early Adulthood Relationship Addic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umatized Self-Syste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4, pp.1051-1073
https://doi.org/10.17315/kjhp.2018.23.4.012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umatized self-systems in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1 adults that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in their childhood.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Trauma Antecedents Questionnaire(TAQ),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Traumatized Self-System Scale(TSSS) and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 (RAQ-30). SPSS 21.0 and AMOS 21.0 was employed in data analysis. The data analysis includes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ship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traumatized self-syste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the sequential-mediating effec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umatized self-system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keywords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Relationship Addic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Traumatized Self-System, 아동기 대인외상 경험, 관계중독, 심리적 수용, 자기체계 손상

Reference

1.

고나래 (2008).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아름 (2012). 수용-전념 치료가 죽음관련 외상경험이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고통, 부정적 정서수준 및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옥주 (2015). 대학생의 대인간 외상 경험이 친밀감에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체계 손상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해수 (2003).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적응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수민 (2016). 심리적 외상경험이 관계중독에 미치는영향: 주관적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준수, 조진무, 송윤미, 이정권 (2004). PC방 이용자들의 인터넷 중독과 우울, 불안 및 대인회피 성향과의 연관성. 대한가정의학회, 25(6), 455-461.

7.

김지연, 심혜원 (2015).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00-300.

8.

김환, 한수미 (2015). 어릴 적 외상 경험이 공감 능력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251-274.

9.

노푸른 (2014).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885-910.

10.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은미 (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초기 성인기의 친밀한 대인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배미향 (2014).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4.

손승희 (2017). 아동기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743-763.

15.

송승훈 (2007). 한국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송인섭 (2001). 통계학의 기초. 출판지: 학지사.

17.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심현진 (2013).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학생의 사회불안의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지, 14(6), 3709-3722.

19.

안현의 (2007). 복합외상 (complex trauma)의 개념과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105-119.

20.

안현의, 장진이, 조하나 (2009). 자기체계의 손상으로 본복합외상증후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283-301.

21.

우상우 (2014).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우종필 (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3.

윤호균 (2005). 심리 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24.

이선미, 김정희 (2002).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547-563.

25.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의선 (2004). 관계중독의 기독교 상담적 치료방안에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인숙, 하양숙, 김기정, 김정희, 권용희, 박진경, 이나윤 (2003). 일개 지역사회 재해 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3(6), 829-838.

28.

이지원, 이기학 (2014). 불안정애착 및 심리적 고통이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6(1), 65-95.

29.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30.

이태영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장문선, 박기쁨, 정성훈, 우상우 (2011). 의존성, 회피성성격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성향 간의 관련성.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1), 13-31.

32.

장진이 (2010).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손상과 심리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조현철, 강석후 (2007).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과학회, 17(3), 13-153.

34.

주수진, 손정락 (2015). 수용 전념 치료가 대인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임상, 34(2), 353-374.

35.

최나윤 (2013). 아동기 외상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 및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한수경 (2013).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에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한진주 (2007). 어린시절 경험과 관계중독의 패턴연구 -에니어그램과 대상관계 이론적 접근. 에니어그램연구, 4(2), 135-161.

39.

허은정 (2015). 정서인식 명확성이 자기 파괴적 행동에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2009).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2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61-878.

41.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42.

Bach, P., & Hayes, S. C. (2002). The use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prevent the rehospitalization of psychotic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5), 1129-1138.

43.

Baumeister, R. F., & Vohs, K. D. (2004).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44.

Bireda, M. R. (2005). 사랑중독증 [Love addiction: A guide to emotional independence]. (신민섭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년에 출판).

45.

Blum, H. P. (1973). The concept of erotized trans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 21(1), 61-76.

46.

Bond, F. W., Hayes, S. C., Baer, R. A., Carpenter, K. M., Guenole, N., Orcutt, H. K., . . ., & Zettle, R. D. (2011).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havior therapy, 42(4), 676-688.

47.

Briere, J. (1997). Treating adults severely abused as children: The self-trauma model (pp. 177-204). London: Sage Publications.

48.

Cole, P. M., & Putnam, F. W. (1992). Effect of incest on self and social Unctioning: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2), 174.

49.

Cook, A., Spinazzola, J., Ford, J., Lanktree, C., Blaustein, M., Cloitre, M., . . . van der Kolk, B. (2005). Complex trau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iatric Annals, 35, 390-398.

50.

Courtois, C. A., & Ford, J. D. (Eds.). (2009). Treating complex traumatic stress disorders: An evidence-based guide (pp. 82-104). New York:Guilford Press.

51.

Deykin, E. Y., Keane, T. M., Kaloupek, D., Fincke, G., Rothendler, J., Siegfried, M., & Creamer, K. (200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use of health services. Psychosomatic Medicine, 63(5), 835-841.

52.

Doi, S. C., & Thelen, M. H. (1993). The fear-of-intimacy scale: Replication and extension. Psychological Assessment, 5, 377-377.

53.

Dougher, M. J. (1994). The act of acceptance.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37-45.

54.

Dunmore, E., Clark, D. M., & Ehlers, A. (1999). Cognitive factors involved in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PTSD) after physical or sexual assaul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7, 809-829.

55.

Erdelyi, M. H., & Goldberg, B. (1978). Let's not sweep repression under the rug. Toward a cognitive psychology of repression. In J. F. Kilhlstrom & F. J. Evans(Eds.), Functional disorders of memory. Hillsdale, New Jersey:Erlbaum.

56.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W Norton & Company.

57.

Finzi, R., Har-Even, D., & Weizman, A. (2003). Comparison of ego defenses among physically abused children, Neglected, and non-maltreated children. Comprehensive Psychiatry, 44(5), 388-395.

58.

Foa, E. B., Zinbarg, R., & Rothbaum, B. O. (1992). Uncontrollability and unpredictability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 anim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12(2), 218.

59.

Friedman, M. J., Keane, T. M., & Resick, P. A. (Eds.). (2007). Handbook of PTSD: Science and Practice. New York: Guilford Press.

60.

Grand, S. (2003). Unsexed and ungendered bodies the violated self. Studies in Gender and Sexuality, 4(4), 313-341.

61.

Greenberg, L. S., & Safran, J. D. (1989). Emotion in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44(1), 19.

62.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Press.

63.

Hayes. S. C.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64.

Herman, J. L. (1992).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3), 377-391.

65.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66.

Kring, A. M., & Bachorowski, J. (1999). Emotions and psychopathology. Cognition and Emotion, 13, 575-599.

67.

Luxenberg, T., Spinazzola, J., & Van der Kolk, B. A. (2001). Complex trauma and disorders of extreme stress(DESNOS) diagnosis, Part one: Assessment. Directions in Psychiatry, 21(25), 373-392.

68.

Ozer, E. J.,Best, S. R., Lipsey, T. L., & Weiss, D. S. (2003).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ymptoms in adult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69.

Pacella, M. L., Hruska, B., & Delahanty, D. L. (2013). The physical health consequences of PTSD and PTSD symptoms: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7(1), 33-46.

70.

Raja, S. (2015). 트라우마 &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극복하기[Overcoming Trauma and PTSD/New Harbinger Publications]. (김은심, 안황란, 이은정, 오희옥 역). 서울: 눈. (원전은 2012에 출판).

71.

Scarf. M. (1980). Unfinished Business: Pressure Points in the Lives of Women. (pp. 542). New York: Doubleday.

72.

Steiger, J. H., & Lind, J. M. (1980).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IA.

73.

Susan. P. (2011). Addiction to Love. New York:Random house.

74.

Taylor, S, Asmundson, G. J., & Carleton, R. N. (2006). Simple versus complex PTSD: A cluster 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0(4), 459-472.

75.

Tull, M. T., & Roemer, L. (2003). Alternative explanations of emotional numbing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 examination of hyperarousal and experiential avoidanc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5(3), 147-154.

76.

Van der Kolk ,B.A. (1996). The complexity of adaptation to trauma: Self-regulation, stimulus discrimination, and character logical development. In B.A. Van der Kolk, A. C. McFarlane, & L. Weisaeth(Eds.), Traumatic stress: The effect of overwhelming experience on mind, body, and society (pp. 182-213). New York: Guildford Press.

77.

Van der Kolk, B. A. (2005). Developmental trauma disorder. Psychiatric Annals, 35(5), 401-408.

78.

Wagner, A. W., Wolfe, J., Rotnitsky, A., Proctor, S. P., & Erickson, D. J.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physical health.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1), 41-55.

79.

Whiteman, T., & Peterson, R. (2004). 사랑이라는 이름의 중독 [Victim of Love? How You Can Break the Cycle of Bad Relationships]. (김인화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원전은 1998년에 출판)

80.

Wilson, J. P., Droždek, B., & Turkovic, S. (2006). Posttraumatic shame and guilt. Trauma, Violence, & Abuse, 7(2), 122-141.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