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청소년용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for Adolesc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9, v.24 no.3, pp.569-586
https://doi.org/10.17315/kjhp.2019.24.3.003
윤정미 (서울여자대학교)
김진영 (서울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국내 청소년에게 맞게 수정한 뒤 타당화하는 것이다. 먼저 청소년기 최저 연령이라 볼 수 있는 중학교 1학년생의 단어 이해 수준을 고려하기 위하여 초등연세사전을 활용하여 14개의 문항 번역을 검토하였다. 이후 타당도 검증을 위해 중학생 646명과 고등학생 444명, 총 1,090명(남학생=520명, 여학생=57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및 일상적 스트레스, 긍정적 정신건강, 우울, 불안, 자존감을 측정하였다. 문항-총점 상관분석, 내적일치도 분석 및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청소년용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는 10문항으로 구성될 때 청소년에게 가장 적합하였으며, 수용 가능한 수준의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부정적 지각과 긍정적 지각, 총 2개의 하위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는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정신장애, 우울, 불안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정신건강 및 자존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준거 관련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준거변인들에 대하여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가 설명을 한 이후에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청소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청소년 스트레스, 정신건강, Adolescents, Perceived Stress, Validation Study, Adolescent Stress, Mental Health

Abstract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that measures an individual’s global appraisal of stress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stress sc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for adolescents. The translation was conducted with reference to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early adolescents’ fluency with words. A total of 1,09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520 males and 57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tem-total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of PSS revealed that the 10-item scale and two-factor structure were most suitable for adolescents.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for a duration of three months were acceptable.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PS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daily stress, mental illness,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mental well-being and self-esteem. In comparison of the PSS with the Daily Stress Scale, the explanation power of PSS to each criterion variabl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nsidering the Daily Stress Scale. Last,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청소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청소년 스트레스, 정신건강, Adolescents, Perceived Stress, Validation Study, Adolescent Stress, Mental Health

참고문헌

1.

고영건 (2015). 청소년을 위한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의표준화 연구. 서울: 아산사회복지재단.

2.

김은진 (2015). 청소년기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분노, 스트레스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4), 239-266.

3.

김준호, 이동원 (1996).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3-165.

4.

남전아, 채규만 (2012). 스트레스와 청소년 도박행동의관계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모 애착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643-657.

5.

박병선, 심성지, 배성우 (2018).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청소년의 비행과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구조적 관계 분석-성별 및 학교급간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1, 101-126.

6.

박준호, 서영석 (2010).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611-629.

7.

보건복지부 (2018). 청소년건강행태조사.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에서 2019.01.29. 자료 얻음.

8.

송지원, 조한익 (2018).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8), 103-129.

9.

염유식, 김경미 (2018). 한국 어린이ž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조사결과 보고서(2018년 제10차). 서울:(재)한국방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0.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동아연세 초등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11.

이산, 오승택, 류소연, 전진용, 이건석, 이은, 박진영, 이 상욱, 최원정 (2016).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4(1), 83-93.

12.

이용승 (2000). 범불안장애. 서울: 학지사.

13.

이지연, 김효창, 현명호 (2005). 스트레스, 부모-자녀간의사소통 및 청소년 자살 생각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375-394.

14.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 척도 (MHC- SF) 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15.

전병재 (1974). 자아존중감 도구측정. 연세논총.

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패널조사. https://www.nypi.re.kr/archive/에서 2019.01.29. 자료 얻음.

17.

한미현, 유안진 (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4), 49-64.

18.

함진선, 현명호, 임영식 (2005). 스트레스, 중요타인의흡연 및 흡연에 대한 신념이 청소년 흡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91-207.

19.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0.

Bending, A. W. (1956). The development of short form of the manifest anxiety scal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0(5), 384.

2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Erlbaum.

22.

Cohen, S. (1986). Contrasting the Hassles Scale and the Perceived Stress Scale: Who's really measuring appraised stress? The American Psychologist, 41(6), 716-718.

23.

Cohen, S., & Williamson, G. (1988).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In S. Spacapan, & S. Oskamp(Ed.),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Claremont symposium on applied social psychology(pp.385-396). Newbury Park, CA: Sage.

24.

Cohen, S., Gianaros, P. J., & Manuck, S. B. (2016). A stage model of stress and diseas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1(4), 456-463

25.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26.

Dahl, R. E. (2004). Adolescent brain development: a period of vulnerabilities and opportunities. Keynote addres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21(1), 1-22.

27.

Dvir, Y., Ford, J. D., Hill, M., & Frazier, J. A. (2014). Childhood maltreatment,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sychiatric comorbidities.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22(3), 149.

28.

Eaton, W. W., Smith, C., Ybarra, M., Muntaner, C., & Tien, A. (2004).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ew and revision (CESD and CESD-R). In Maruish, M. E(Ed.). User of psychological testing for treatment planning and outcomes assessment, 3rd ed(pp. 363-377). Mahwah, NJ: Lawrence Erlbaum.

29.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30.

Kanner, A. D., Coyne, J. C., Schaefer, C., & Lazarus, R. S. (1981). Comparison of two modes of stress measurement: Daily Hassles and Uplifts versus Major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1), 1-39.

31.

Keyes, C. L., Wissing, M., Potgieter, J. P., Temane, M., Kruger, A., & Van Rooy, S. (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5(3), 181-192.

3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In W. D. Gentry(Ed.),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pp. 282-325). New York, NY: Guilford.

33.

Lee, E. (2012). Review of the psychometric evidence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Asian Nursing Research, 6, 121-127.

34.

Lee, E. H., Chung, B. Y., Suh, C. H., & Jung, J. Y. (2015). Korean versions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14, 10 and 4): psychometric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9(1), 183-192.

35.

Lesage, F., Berjot, S., & Deschamps, F. (2012).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rench versions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25, 178-184.

36.

Leung, D. Y., Lam, T., & Chan, S. S. (2010). Three versions of perceived stress scale: Validation in a sample of Chinese cardiac patients who smoke.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10, 513.

37.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38.

Steinberg, L., Dahl, R., Keating, D., Kupfer, D. J., Masten, A. S., & Pine, D. S. (2015). The study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adolescence:Integrating affective neuroscience with the study of context. In D. Cicchetti & D. J. Cohen(Ed.), Developmental psycho- pathology, volume 2:Devel- opmental neuroscience, 2/E (pp. 710-741). John Wiley and Sons Lt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