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관계중독 척도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2, pp.311-336
https://doi.org/10.17315/kjhp.2020.25.2.001
이인재 (경상대)
양난미 (경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성인초기 남녀를 대상으로 관계중독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관계중독의 개념을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8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또한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국내의 성인초기 남녀 32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6문항으로 이루어진 4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갈망’으로 친밀한 관계 경험에 과도하게 몰입하고 갈구함, 2요인은 ‘금단’으로 관계 속에 있지 않을 때 느끼는 심리적 괴로움, 3요인은 ‘통제 결여’로 관계 경험을 조절하거나 줄이거나 중지시키려는 노력이 반복적으로 실패함, 4요인은 ‘손상’으로 관계 경험에 대한 몰입으로 인해 다른 중요한 관계, 일자리, 교육적·직업적 기회를 상실하거나 위험에 빠뜨리는 것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성인초기 남녀 31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 증분 타당도 모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주 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relationship, factor analysis, early adulthood, 관계중독 척도, 관계중독, 관계, 요인분석, 성인초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at Korean early adulthood. After thoroughly reviewing studies, a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of 58 items was developed. Among 324 early adul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ing in four factors consisting of 16 items each. Factor 1 ‘craving’ is related to be excessive immersed in intimate relationship and Factor 2 ‘withdrawal’ is related to psychological distress when not in a relationship. Factor 3 ‘lack of control’ is related to failing repeatedly when controlling, reducing, or ending a relationship. and Factor 4 ‘damage’ is focused on losing an opportunitye or endangering other relationships such as a, job or obtaining an education. In seque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obtained from 301 of the selected early adulthood subject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for the model, and convergent, discrimination, and incremental validity of it were confirmed. When a retest was conducted four weeks late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as well. Finally, the academic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relationship, factor analysis, early adulthood, 관계중독 척도, 관계중독, 관계, 요인분석, 성인초기

참고문헌

1.

고은지 (2018).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대익 (1998).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성격, 자의식,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림, 정여주, 이도연, 윤서연, 김옥미 (2019).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열린교육연구, 27(3), 199-218.

4.

김미선 (201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3(4), 1-20.

5.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경 (2016).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은재 (2018). 성인 애착과 관계중독이 데이트폭력에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김하늘, 유제민 (2017). 성인애착, 유기도식 및 중독성격과 관계중독성 집착행동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9), 485-507.

10.

노안영, 강영신 (2003). 성격심리학. 서울: 학지사.

11.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학지사.

12.

박명진 (2016).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소정 (2019). 성인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에따른 관계중독 성향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한나, 가요한 (2017). 불안정한 초기대상관계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3), 61-83.

15.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6.

손승희 (2017). 아동기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743-763.

17.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학지사.

18.

우상우 (2014).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건성 (2009). 정서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영향: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설아, 박기환 (2013). 유기 도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의관계에서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3(1), 1-17.

21.

이성진 (2019). 자아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유기도식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수현 (2009). 여대생의 대인불안, 대인관계유형, 낭만적 애착유형과 관계중독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4.

이윤연 (2017).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 유기도식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의선 (2005). 관계중독의 기독교 상담적 치료방안에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27.

이지원, 이기학 (2014). 불안정애착 및 심리적 고통이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6(1), 65-95.

28.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6), 2273-2291.

29.

장시온 (2016). 관계중독, 자기 및 타인용서가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중독, 자기 및 타인용서가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정은정, 정남운 (2019). 관계중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4), 947-968.

31.

정인숙 (2017). 관계중독 회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의 삼중구조 관계. 복음과 상담, 25(2), 241-273.

32.

조성호 (2001).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77-192.

33.

조윤옥 (2014). 관계중독의 치유에 관한 연구. 신학과실천, 38, 409-440.

34.

최연화 (2012). 대학생의 자아분화, 성인애착, 관계중독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3(2), 689-704.

35.

탁진국 (2007). 심리검사(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학지사.

36.

하정민 (2017). 데이트 폭력 피해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영향 : 관계 중독과 분노의 매개 효과. 중앙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한진주 (2007). 어린시절 경험과 관계중독의 패턴연구 -에니어그램과 대상관계 이론적 접근 -. 에니어그램연구, 4(2), 135-161.

38.

홍정순 (2017). 진정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29-158.

39.

Adams, K. M., & Robinson, D. W. (2001). Shame Reduction, Affect Regulation, and Sexual Boundary Development: Essential Building Blocks of Sexual Addiction Treatment.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The Journal of Treatment & P revention, 8(1), 23-44.

40.

Archibald D. H. (1997). 숨겨진 중독 [Healing Life's Hidden Addictions]. (윤귀남 역). 서울: 참미디어.

41.

Bagozzi, R. P., Yi, Y., & Phillips, L. W. (1991).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6(3), 421-458.

42.

Bireda, M. R. (2005). 사랑중독증 [Love addiction: A guide to emotional independence]. (신민섭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년에 출판)

43.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rview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pp.46-76). New York: Guilford Press

44.

Campbell, J. D., Trapnell, P. D., Heine, S. J., Katz, I. M., Lavallee, L. F., & Lehman, D. R. (1996).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1), 141-156.

45.

Corley, M. D. & Hook, J. N. (2012). Women, Female Sex and Love Addicts, and Use of the Internet. Sexsual Addcition & Compulsivity, 19(1-2), 53-76.

46.

Costa, S., Barberis, N., Griffiths, M.D., Benedetto, L., & Ingrassia, M. (2019). The Love Addiction Inventory: Preliminary Finding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18.

47.

Cook, D. R. (1987).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ly, 4(2), 197-215.

48.

Cook, D. R. (2001). International Shame Scale:Technicalmanual. New York : Multi Health System Inc.

49.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50.

Field, A. (2009).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London, Sage publications.

51.

Fisher, H. E., Xu, X., Aron, A., & Brown, L. L. (2016). Intense, passionate, romantic love: A natural addiction? How the fields that investigate romance and substance abuse can inform each other. Frontiers in Psychology, 7.

52.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53.

Fraley, R. C., Waller, N. G., & Brennan, K. A. (2000). An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365.

54.

Friedman, M. J., Keane, T. M., & Resick, P. A. (Eds.). (2007). Handbook of PTSD: Science and practice. New York, Guilford Press.

55.

Griffin-Shelly, E. (2009). Ethical Issues in Sex and Love Addiction Treatment. Sexsual Addcition &Compulsivity, 16(1), 32-54.

56.

Griffiths, M.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4), 191–197.

57.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

58.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1978). The seasons of man's life. New York: Alfred A.

59.

Martin, G. (1994). 좋은 것도 중독이 될 수 있다[When Good Things Become Addictions] . 임금선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원전은 1990에 출판)

60.

May, G. G. (2007). Addiction and grace: Love and spirituality in the healing Of addictions. California, HarperOne.

61.

Meir, E. I., & Gati, I. (1981).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12.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1(4), 1011-1016.

62.

O’conor, B. P. (2000). SPSS and SAS program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using paralel analysis and Velicer’s MAP test. Behavior Res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2(3), 396-402.

63.

Peabody, S. (2011). Acciction to Love. New York, Random house, Inc.

64.

Peele, S., & Brodsky, A. (1992). Truth About Addiction and Recovery. New York., Fireside Book.

65.

Redcay, A. & Mcmahon, S. (2019). Assessment of relationship addiction. Sexual and Relationship Therapy. https://doi.org/10.1080/14681994.2019.1602258

66.

Redcay, A. & Simonetti, C. (2018). Criteria for Love and Relationship Addiction: Distinguishing Love Addiction from Other Substance and Behavioral Addictions. Sexsual Addcition & Compulsivity, 25(1), 80-95.

67.

Reise, S. P., Waller, N. G., & Comrey, A. L. (2000). Factor analysis and scale revision. Psycholgical Assesment, 12(3), 287-297.

68.

Reynaud M., Karila L., Blecha L., & Benyamina A. (2010). Is Love Passion an Addictive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Drug and Alcohol Abuse, 36(5), 261-267.

69.

Sanches M., & John, V.P. (2019). Treatment of love addiction: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The European Journal of Psychiatry, 33(1), 38-44.

70.

Shaffer, H.J. (1996). "Understanding the means and objects of addiction: Technology, the internet, and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2(4), 461–469.

71.

Smith, D. E. (2012). The process addictions and the new ASAM definition of addiction.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44(1), 1-4.

72.

Sussman, S. (2010). Love Addiction Definition, Etiology, Treatment. Sexsual Addcition &Compulsivity, 17(1), 31-45.

73.

Sussman S., Lisha N., Griffiths M. (2011). Prevalence of the addictions: a problem of the majority or the minority? Eval Health Professions, 34(1), 3-56.

74.

Velicer, W. F., & Jackson, D. N. (1990). Component analysis versus common factor analysis: Some isues in selecting an appropriate procedure. Multivariate Behavioral Resarch, 25(1), 1-28.

75.

Whiteman, T., & Peterson, R. (2004). 사랑이라는 이름의 중독 [Victim of Love?] . 김인화 역, 서울: 사랑 플러스.(원전은 1998에 출판)

76.

Young, J. E. (1999).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ed approach. Sarasota, Professional Resource Exchange.

77.

Young, J. E., Klosko, J. s., Weishar, M. E. (2003). Schma therapy; A practitioner' guide(rev. ed). new york: Guilford Press.

78.

Zou, Z., Song, H., Zhang, Y., & Zhang, X. (2016). Romantic love vs. drug addiction may inspire a new treatment for addiction. Frontiers in Psychology, 7, 1–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