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labor of Paramedic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2, pp.337-361
https://doi.org/10.17315/kjhp.2020.25.2.00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impact of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 In this study, paramedics with emotional labor experience were chosen by using the snowball sampling-peer recommendation method. In all, 10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once and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Giorgi(2009). To summarize the primary results of the research, 28 of semantic meanings, 11 of sub-topics, and five of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zation of the interview data through semantic process. The themes experienced by paramedics are the following; repeated states of the wounds, poor conditions which can't be relied on, rigid state of mind, strained relations, state of being sick of working. The causes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paramedics are the following: indiscriminate words and actions, organizations and systems that leave deep scars on my body and mind, which are traumatized, and negative experiences proceeding with trauma that lead to skepticism of the work. These emotional labors are led to the psychological awakening state, negative personality, disjointed human relationship, shrinking family relationship, and loss of passion. In this study, thus, we are proposing a program to reach out to paramedics at a personal level to relieve the stress from emotional labor and discussion of supporting job resources. Also, there ar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in the following passage.

keywords
paramedics, emotional labor, phenomenological approach, demander, 구급대원, 감정노동, 현상학적 접근, 요구조자

Reference

1.

고재욱 (2013).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9, 65-94.

2.

권경인, 양정연 (2015). 콜센터 종사자의 어려움에 대한질적연구: 인바운드 상담원을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6(16), 109-133.

3.

권석만 (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이해. 서울: 학지사.

4.

김구, 한기민 (2012).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J-지방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497-523.

5.

김국래 (2006). 한국 응급의료서비스 체계의 민관파트너십 구축방안 : 거래비용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국래 (2007). 소방공무원의 의식과 처우개선에 관한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1(1), 7-18.

7.

김상구 (2009). 공공부분의 감정노동 : 일선행정 민원공무원에 대한 실증연구. 지방정부연구, 13(1), 51-70.

8.

김상호 (2009).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및 조직 동일시 조절효과를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11(2), 5-33.

9.

김성환 (2013).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성환 (2015).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과자살 생각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연정, 김진현, 심규식 (2017).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회복탄력성간의 융합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2), 379-389.

12.

김영길 (2011). 소방공무원 근무환경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 소방공무원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지희, 엄동춘, 김은애 (2010). 119구급대원의 폭력경험과 소진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1), 4433-4440.

14.

김환, 한수미, 한혜라, (2019). 서비스직과 비서비스직의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4(20), 177-188.

15.

류상일, 권승 (2018). 공공부문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지, 7(3), 153-167.

16.

문유석 (2011).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환경적 유발요인. 지방정부연구, 15(1), 119-141.

17.

문현주, 신혜정, 강방글, 권지성 (2014).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1),113-146.

18.

박운호 (2018). 소방공무원의 리더십 특성이 현장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재난현장 지휘관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승균 (2015). 소방공무원의 사망사건 외상경험에서의어려움과 대처에 대한 질적 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배점모 (2008). 소방대원의 출동출격, 사회적 지지, 대처행태와 PTSD 증상 및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주상, 안승남 (2012).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9(1), 49-70.

22.

소방방재청(2008). 소방공무원 외상후 스트레스 실태분석연구.

23.

소방방재청(2014). 소방보건안전 복지실태 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24.

송민혜, 양승범, 이현정 (2017). 공무원의 사회적교환 관계 인식과 감정노동 관리방안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행정, 27(1), 163-191.

25.

송용선 (2013). 소방공무원 3교대 근무 실효성 확보를위한 제언. 국가위기관리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171-180.

26.

신석호 (2008). 호텔직원의 서비스접점상황, 감정부조화, 감정고갈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신수진 (2016). 은행영업점 고객접점직원의 감정 노동경험에 대한 현상학적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신지훈, 박부연, 이재홍, 송설경 (2015).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소방관의 감정노동 통계분석.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10(11), 1297-1306.

29.

신화영, 황순택, 신용태 (2015). 소방공무원의 외상성 사건 경험과 PTSD 증상의 관계.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97-120.

30.

심용출 (2015).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경험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안경현 (2015). 소방공무원의 직무상 신체적․정신적 증상과 외상후 스트레스분석에 관한연구. 목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양성석 (2014). 소방대원의 직무태도 영향 요인: 정서노동 정도와 안전센터장 서번트 리더십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양승범, 송민혜 (2010). 한국지방공무원의 감정노동에관한 연구-서비스 인카운터에서 감정 노동,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이직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2(3), 213-236.

34.

오진아 (2013). 간호사의 분노표현 양식과 감정노동이심리적 안녕감과 서비스 제공 수준에 미치는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오진환 (2006). 소방대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소진및 신체적 증상의 영향 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오현정 (2011). 남자 소방공무원의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과 알코올 사용과의 관련성. 을지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우하린 (2008).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에 관한 연구: 경기도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2). 질적연구방법의이해. 서울: 박영사.

39.

유승원, 김규상, 박정일, 김민기 (2012). 여성 소방관의문제음주 실태 및 관련 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4(2), 124-132.

40.

유지현, 박기환 (2009).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변인들-우울, 불안, 대처방식 및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833-852.

41.

유홍미 (2002).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및 환경적지원과 소진과의 관계에 관한 조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성배 (2018).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긍정정서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이영주 (2011).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이지영, 문나영, 홍현기, 현명호 (2008). 소방대원의 외상경험, 정서지능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25-39.

45.

이춘이 (2018).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환자 임종간호경험.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6.

장지수 (2018).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7.

주경숙 (2017).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 간의관계. 한국위기관리논집, 13(4), 45-54.

48.

주시각 (2013).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콜센터 상담사를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9.

주재진 (2012).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1(4), 223-256.

50.

조선덕, 박재범 (2013).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상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의 관련성.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3(5), 219-224.

51.

지진호 (2009). 여행업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제공 수준과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5), 284-292.

52.

질적연구센터 (2018).

53.

채진, 우성천, 고기봉 (2012).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화재 소방학회 논문지26(5), 28-34.

54.

최말옥, 손광훈, 김서정, 김행미 (2007). 소방대원 외상후 스트레스 극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5-87.

55.

최영진 (2008). 119 구급대원들의 중요 스트레스.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최지형, 박은민 (2018).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1), 177-196.

57.

최혜경 (2010).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이 외상 후스트레스장애증상, 정서적 탈진, 신체증상, 사회 및직업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보고서. https://www.krivet.re.kr/ku/da/kuBAAVw.jsp?gn=E1-E120130376에서 자료 얻음.

59.

한지윤 (2014). 119상황근무자의 감정노동에 대한 실태조사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61.

Brotheridge, C. M., & Lee, R. T.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65-379.

62.

Fullerton, C. S. ph.D., McCarroll, J. E. Ph. D., Ursano, R. J. MD., & Wright, K. M., Ph.D. (1992). Psychological responses of rescue workers: Fire fighters and trauma. American Orthopsychiatric Association. 62(3), 371-378.

63.

Giorgi, A. (2009). The descriptive phenomenoloical method in psychology. Amodified husserlian approa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64.

Grandey, A.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1), 95-110.

65.

Grandey, A. A. (2003). When "the show must go on":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n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66.

Guy, M. E. & Newman, M. A. (2004). Women's jobs, men's jobs: Sex segregation and emotional lab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4(3), 289-298.

67.

Hochschild, A, R., (1983). The mamaged heart: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이가람 역, 이매진.

68.

Heieh, C. W., & Cuy, M. E.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ing the heart and managing client satisfaction.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9(1), 41-57.

69.

Kruml, S. M.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e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70.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A: Sage Publications, Inc.

71.

Mastracci, S. H., Newman, M. A. & Guy, M. E. (2006). Appraising emotion work determining whether emotional labor is valued in government jobs.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6(2): 123-138.

72.

Meier, K. J., Mastracci, S. H. & Wilson, K. (2006). Gender and emotional labor in public organization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link to perform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6): 899-909.

73.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74.

Moser, A., Takano, K., Margulies, D. T., Albrecht, M., Sonobe, Y., Ikeda, Y., ... & Fullerton, E. E. (2002). Magnetic recording: advancing into the future.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35(19), R157.

75.

Norwood, P. J., & Rascati, R. (2012). Recognizing and combating firefighter stress. Fire Engineering. 87-91.

76.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edition. 김진호, 나장함, 차동춘, 조대훈, 조윤경, 임정완, 임부연, 최윤정, 이연선, 최진혁, 박주영 공역. 파주: 교육과학사.

77.

Salem, C. S. OR. (2007). Firefighter response system.

78.

Shantz, M. C. (2002). Effect of related stress On firefighter/paramedic. Eastern Michigan University School of Fire Staff And Command.

79.

Smith, B. W., Ortiz, J. A., Steffen, L. E., Tooley, E. M., Wiggins, K. T., Yeater, E. A., Montoya, J. D., & Bernard, M. L., (2011). Mindfulness is associated with fewer PTSD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physical symptoms, and alcohol problems in urban firefight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9(5), 613-617.

80.

Whalen, C., & Guy, M. E. (2008). Broadbanding trends in the state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8(4), 349-366.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