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긍정심리중재법 중 하나인 웰빙인지기법을 모바일 앱(App)으로 제공하여 여대생의 병리적 걱정, 주관적 웰빙 및 특성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여자 대학교의 재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고, 병리적 걱정 점수(K-PSWQ)가 기준 이상인(>56점) 학생을 선별하여 처치집단(n=29)과 대기통제집단(n=29)에 무선할당했다. 처치는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에게 매일 1회 이상 앱에 접속하도록 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판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K-PSWQ),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삶의 만족 척도(SWLS), 삶의 만족예상 척도(LSES), 상태 특성 불안 검사-특성 불안(STAI-T)이다.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값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처치집단의 병리적 걱정, 특성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주관적 웰빙의 경우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처치집단의 긍정정서,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mobile app on pathological worry, subjective well-being, and trait anxie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coring higher than 56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29) or a wait-control group (n=29).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rected to use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mobile app at least once daily for four weeks.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K-PSWQ),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and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Trait (STAI-T). To verif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 and the time, the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for pre-post values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 The scores of pathological worry and trait anxi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In subjective well-being, the scores of positive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Also, the scores of negative a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고윤정, 김정민 (2015). 사회불안장애 여자 대학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비교. 정서·행동장애연구, 31(2), 175-197.
고은미, 김정호, 김미리혜 (2015). 웰빙인지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69-89.
김성범 (2015).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이 대학생의 우울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31(2), 527-546.
김수영, 박경 (2018). 걱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 및 작업기억 훈련과 마음챙김 훈련의 효용성.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0(2), 29-51.
김용, 박종일, 박태원, 정상근, 양종철 (2017). 범불안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신체증상 지각에대한 인지적 특성. 대한불안의학회, 13(2), 100-107.
김정원, 민병배 (1998). 걱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및 문제해결 방식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8(1), 83-92.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53-484.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3), 1-22.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2009). ‘삶의 만족’은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87-205.
김정호 (2015). 생각 바꾸기. 서울: 불광출판사.
김정호 (2018). 일상의 마음챙김+긍정심리. 서울: 솔과학.
김현정, 손정락 (2007). 인지행동치료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적인 대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4), 805-826.
민경은, 김정호, 김미리혜 (2014). 웰빙인지기법이 버스운전기사들의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63-82.
박은빈, 김정호, 김미리혜 (202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한 웰빙인지기법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1), 57-74.
보건복지부 (2016).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조사.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에서 자료얻음.
송정민, 채정호 (2005). 일차 진료에서의 범불안장애의진단과 치료. 가정의학회지, 26(9), 517-528.
신여운, 현명호 (2004). 병리적 걱정을 하는 사람의 걱정에 대한 신념과 대처방략.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45-63.
신현균, 장재윤 (2003).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15-827.
오영아, 정남운. (201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걱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671-691.
이수민, 김정호, 김미리혜, 김제중 (2020).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한 웰빙인지기법이 중년기 성인의 우울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2), 393-416.
한가희,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정적/긍정적 평가에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7(2), 161-179.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1996). Spielberger 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 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Borkovec, T. D. (1994). The nature, functions, and origins of worry. In G. C. L. Davey, & F. Tallis (Eds), Worrying: perspectives on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pp. 5-33). Chichester, England: Wiley.
Davey, G. C. (1994). Pathological worrying as exacerbated problem-solving. In G. C. L. Davey, & F. Tallis (Eds), Worrying: perspectives on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pp. 34-59). Chichester, England: Wiley.
Diener, E., Emmons, R.A., Larsen, R.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Eagleson, C., Hayes, S., Mathews, A., Perman, G., &Hirsch, C. R. (2016).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Pathological worry is reduced by thought replacement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78, 13-18.
Fava, G. A., Ruini, C., Rafanelli, C., Finos, L., Salmaso, L., Mangelli, L., & Sirigatti, S. (2005). Well-being therap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74(1), 26-30.
Hirsch, C. R., & Mathews, A. (2012). A cognitive model of pathological worr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50(10), 636-646.
Mewton, L., Wong, N., & Andrews, G. (2012).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clinical practice. Depression and Anxiety, 29(10), 843-849.
Meyer, T. J., Miller, M. L., Metzger, R. L., &Borkovec, T. D. (199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28(6), 487-495.
Molina, S., & Borkovec, T. D. (1994).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ssociated characteristics. In G. C. L. Davey, &F. Tallis (Eds), Worrying: perspectives on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pp. 265-283). Chichester, England: Wiley.
Paxling, B., Almlöv, J., Dahlin, M., Carlbring, P., Breitholtz, E., Eriksson, T., & Andersson, G. (2011). Guided internet-deliver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gnitive Behaviour Therapy, 40(3), 159-173.
Robichaud, M., Dugas, M. J., & Conway, M. (2003). Gender differences in worry and associated cognitive-behavioral variabl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7(5), 501-516.
Robinson, E., Titov, N., Andrews, G., McIntyre, K., Schwencke, G., & Solley, K. (2010). Internet treatment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clinician vs. technician assistance. PloS one, 5(6), e10942.
Seligman, M.,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Shen, N., Levitan, M. J., Johnson, A., Bender, J. L., Hamilton-Page, M., Jadad, A. A. R., & Wiljer, D. (2015). Finding a depression app: A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the depression app marketplace. JMIR mHealth and uHealth, 3(1), e16.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97).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Titov, N., Andrews, G., Robinson, E., Schwencke, G., Johnston, L., Solley, K., & Choi, I. (2009). Clinician-assisted Internet-based treatment is effective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3(10), 905-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