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서 마음챙김 명상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경향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Mindfulness Meditation on Gastrointestinal Symptom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of Functional Dyspepsia-Pro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5, pp.911-928
https://doi.org/10.17315/kjhp.2020.25.5.004
박슬기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 마음챙김 명상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경향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ROME Ⅲ 기준을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경향 여대생을 선정하여 정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에 16명,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14명이 최종 분석 결과에 포함되었다. 정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정서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주 2회 3주간 총 6회기를 참가했고, 스트레스 관리 집단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동일한 기간 동안 동일한 회기로 참가했다. 측정도구로는 상복부 소화기 증상 척도(NDI-K), 스트레스 반응 척도(SRI), 통합적 한국판 우울척도(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S, STAI-T),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CAMS-R), 심리적 수용 척도(AAQ-16)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정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비해 STAI-S를 제외한 NDI-K, SRI, CES-D, STAI-T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추후에도 NDI-K, SRI, STAI-T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즉, 정서 마음챙김 명상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경향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functional dyspepsia, Emotion-Mindfulness meditation, gastrointestinal symptoms, stress, depression, anxiety, 기능성 소화불량증, 정서 마음챙김 명상, 상복부 소화기 증상, 스트레스, 우울, 불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Mindfulness meditation on functional dyspepsia-pro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0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functional dyspepcia symptoms were recruited. Of the total, 16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were in the comparative group after random assignments and elimin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motion-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was completed in six sessions twice weekly over three weeks.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completed a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Stress Response Index,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nd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The experimental group’s NDI-K, SRI, CES-D, STAI-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NDI-K, SRI, STAI-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t three-weeks followup. But that result does not mean that the mindfulness effect resulted in significant change. This result implies that Emotion-Mindfulness meditation can generate a positive effect on gastrointestinal symptom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of functional dyspepsia-pro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Las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keywords
functional dyspepsia, Emotion-Mindfulness meditation, gastrointestinal symptoms, stress, depression, anxiety, 기능성 소화불량증, 정서 마음챙김 명상, 상복부 소화기 증상, 스트레스, 우울, 불안

참고문헌

1.

강상건, 김형준, 이상열, 차만진, 황혜헌 (2002). 기능성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우울. 가정의학회지, 23(7): 881-889.

2.

강태영, 김정호 (2008). 정서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지역사회주민을 대상으로. 사회과학연구, 14(0), 147-156.

3.

고경봉 (2000).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신사회적 측면.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6, 258-266.

4.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4), 707-719.

5.

김주희, 김미리혜, 김정호 (2013).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미치는 효과: 예비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53-68.

6.

김영희, 조수열, 강복수, 이경수, 김석범, 김상규, 강영아, 황영록 (2000). 성인 여성들의 스트레스와 소화불량및 수면장애와의 관련성. 한국농촌의학회지, 25(1), 51-63.

7.

김정은, 김정호, 김미리혜 (2015). 마음챙김명상이 만성두통, 스트레스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35-52.

8.

김정택 (1987). STA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9.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8.

10.

김정호 (2004).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4(2). 27-44.

11.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12.

김정호 (2016). 마음챙김 명상 매뉴얼. 서울: 솔과학

13.

김정호 (2018). 명상과 마음챙김의 이해. 한국명상학회지, 8(1): 1-22.

14.

김정호 (2020). 마음챙김 긍정심리 훈련(MPPT) 워크북:행복과 성장을 위한 8주 마음공부. 서울: 불광출판사.

15.

김지연, 손정락. (2012).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 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하는 사람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27-42.

16.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송경호 (2016). 기능성 소화불량증. 정신신체의학, 24(1), 3-8.

18.

신아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0). 정서마음챙김이 여자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 조절과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5(4), 635-652.

19.

안혜원, 천성문 (2010). 싸띠명상이 중학생의 마음챙김, 심리적 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13(1), 1-17.

20.

윤병수 (2012).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명상캠프가 학교부적응 중학생의정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硏究, 20(3), 229-236.

21.

이준성 (2004). 기능과 소화불량증(기능적 원인). 소화기연관학회 합동학술대회, 10(20), 11-17.

22.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3.

조용래 (2009). 한국판 개정된 인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667-693.

24.

조용재, 천성문, 차명정, 이영순 (2012). 마음챙김 명상이 군부적응 병사들의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및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19(2), 295-318.

25.

조유경, 최명규, 김세희, 이인석, 김상우, 정인식, 이상열, 최석채, 설상영 (2004).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삶의질에 대한 모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43(3), 160-167.

26.

최명규 (2000).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역학.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6(2), 235-240.

27.

최은경 (2014). 정서 마음챙김이 우울성향 여대생의 주의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최지훈, 최석채, 염주진, 김상욱, 서검석, 김태현, ... 나용호 (2002).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 감정표현불능증, 우울간의 관련성. 대한소화관운동학회춘계학술대회, 13(0), 93.

29.

한초롱, 김정호, 김미리혜 (2019). 정서 마음챙김 기반폭식 개선 프로그램이 폭식경향 여대생의 부정정서, 고통 감내력, 정서적 섭식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2), 393-411.

30.

Bond, F. W., & Bunce, D. (2003). The Role of Acceptance and Job Control in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6), 1057-1067.

31.

Bonnert, M., Olén, O., Lalouni, M., Hedman-Lagerlöf, E., Särnholm, J., Serlachius, E., & Ljótsson, B. (2018). Internet-delivered exposure-bas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functional abdominal pain or functional dyspepsia:a feasibility study. Behavior Therapy. 50(1):177-188.

32.

Dehghanizade, Z., Zargar, Y., Honarmand, M. M., Kadkhodaie, A., & Baygi, M. E. (2015).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 stress management on functional dyspepsia symptoms. J Adv Med Educ Prof. 3(2), 45-49.

33.

Faramarzi, M., Azadfallah, P., Tabatabai, K. R., Taherim, H., & Kashifard, M. (2015). The effect of psychotherapy in improving physical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Iran J Psychiarty. 10(1), 43-49.

34.

Haug, T. T. (2002). Cognitive therapy in functional dyspepsia.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41, 127-130.

35.

Kabat-Zinn, J. (1994). Wherever you go, there you are. Mindfulness meditati on in everyday life. New York: Hyperion.

36.

Kabeer, K. K., AnanthakrishSnan, N., Anand, C., &Balasundaram, S. (2017).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stress, anxiety or depression in functional dyspepsia and outcome after appropriate intervention.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11(8), VC11-VC15.

37.

Lee, HJ., Lee, SY., Kim, JH., Sung, IK., Park, HS., &Jin, CJ (2010). Depressive mood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Differences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overlap syndrome.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2(5), 499–502.

38.

Longo, D. L., Talley, N. J., & Ford, A. C. (2015). Functional Dyspepsi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3(19), 1853-1863.

39.

Roca-Chiapas, J. M., Solís-Ortiz, S., Fajardo-Araujo, M., Sosa, M., Córdova-Fraga, T., & Rosa-Zarate, A. (2010). Stress profile, coping style, anxiety, depression, and gastric emptying as predictors of functional dyspepsia: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8(1), 73-81.

40.

Sharbafchi M. R., Afshar H., Hassanzadeh-Keshteli A., Roohafza H., Daghaghzadeh H., Salehi M., &Adibi P. (2016). Comparison of stress profiles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functional dyspepsia. International Journal of Body, Mind and Culture. 3(1), 46-54.

41.

Shearer, A., Hunt, M., Chowdhury, M., & Nicol, L. (2016) Effects of a brief mindfulness meditation intervention on student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23(2), 232-254.

42.

Tack, J., Talley, N, J., Camilleri, M., Holfmann, G., Hu, P., Malagelada, J, R., & Stanghellini, V. (2006).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130(5): 1466-147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