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산업현장 중대재해 경험 근로자의 심리적 외상과 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Trauma, Safety Climate, Safety Thought, and Safety Behavior of Workers who Experienced Fatal Workplace Acci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6, pp.1077-1095
https://doi.org/10.17315/kjhp.2020.25.6.002
임종민 (경북대학교)
장문선 (경북대학교)
김경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산업 및 직업영역의 중대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제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중대재해 경험이 있는 근로자의 심리적 외상, 정신건강, 안전 관련 변인(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 수준을 확인하였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개소(112명, 사고집단)와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업장 1개소(13명, 비교집단)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고집단을 사건충격척도(IES-R) 점수(위험군, 저위험군)와 중대재해 노출 경험(직접노출, 간접노출, 비노출)에 따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비교집단을 포함하여 집단 간 심리적 외상, 정신건강, 안전 관련 변인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고집단의 위험군은 저위험군에 비해 KSCL-95의 모든 지표에서 증상의 심각도가 더 높았다. 또, 외상사건 직접노출 집단은 간접노출 및 비노출 집단에 비해 중대재해로 인한 심리적 충격 정도가 더 높았으며, KSCL-95에서 더 심각한 증상을 보고했다. 사고집단의 빈도분석 결과에서도 직접노출 및 간접노출 집단의 위험군 비율이 비노출 집단의 위험군 비율보다 높았다. 안전 관련 변인의 경우, 사고집단의 저위험군이 위험군에 비해 안전실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IES-R과 KSCL-95 하위요인 대부분이 안전 관련 변인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조사로 인한 제한점이 일부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소방, 경찰, 간호사 등의 직군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현장 근로자도 외상사건에 노출되면 PTSD 증상을 경험하는 등 일상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Fatal occupational accidents, PTSD, Psychological trauma, Safety climate, Safety thought, Safety behavior, 중대재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심리적 외상, 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psychological trauma, mental health, and safety-related variables among workers who experienced fatal industrial accidents (FIA) at the manufacturing workplaces, where FIAs mainly occu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workplaces in which FIA occurred (the accident groups) and one workplace which had no experience of FIA (the control group). The accident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ES-R classification criteria (high-risk and low-risk groups) as well as the level of FIA exposure (directly-exposed, indirectly-exposed, and unexposed groups) in order to compare the levels of psychological trauma, mental health, and safety-related variables among workers. In the results, the high-risk group showed higher severity of symptoms in all factors of KSCL-95 compared to the low-risk group. The directly-exposed group exhibited a higher degree of event impact than the indirectly-exposed and unexposed groups, and also reported more serious symptoms in KSCL-95.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which considered the level of FIA exposure and the IES-R classification criteria, showed that the proportions of high-risk workers found in the directly-exposed and indirectly-expose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unexposed group. In addition, regarding safety-related variables, the low-risk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afety practice than the high-risk group, and most of the sub-factors in IES-R and KSCL-95 were negatively related to safety-related variables. Despite the many limitations involved with field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even general industrial workers suffer psychological trauma after experiencing FIAs.

keywords
Fatal occupational accidents, PTSD, Psychological trauma, Safety climate, Safety thought, Safety behavior, 중대재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심리적 외상, 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

참고문헌

1.

권선중 (2015). 간이정신진단검사Ⅱ(KSCL95)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

권용철, 유성은 (2013).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특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3), 649-665.

3.

권정혜, 안현의, 최윤경, 주혜선 (2014). 재난과 외상의심리적 응급처치. 서울: 학지사.

4.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의 한국어판 표준화 연구 Ⅲ. 정신건강연구, 2, 278-311.

5.

김기식, 박영석 (2002). 안전분위기가 안전 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1), 19-39.

6.

김상운 (2014). 수사경찰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경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247-254.

7.

김세경, 이동훈, 장벼리, 천성문 (2015). 고위험 공무 직업군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재활심리연구, 22(2), 393-416.

8.

김영주, 최희승 (2017). 사상사고에 노출된 기관사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8(1), 98-106.

9.

김창숙, 김지원, 이승엽, 조성은, 조윤모, 구정완, 이승철 (2014). 일개 제조업사업장 내 산재사고 목격 근로자의 외상후스트레스 대응사례.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21-322.

10.

박영옥, 박상희 (2020). 심리학을 활용한 공공정책의 개발과 적용 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1), 27-55.

11.

배점모 (2012).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 간의 관계 비교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6(6), 109-117.

1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6).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근로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울산: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3.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8). 중대재해 경험에 따른 주변노동자의 심리적 외상 연구. 울산: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4.

손승희 (2014).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 간접외상및 관련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21(10), 269-294.

15.

송윤경 (2019). 11월21일 일터에서 하루 3명씩 죽는 나라, 매일 ‘김용균’들이 있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today/today_view.html?artid=20191121083855&code=940100.

16.

양미현, 이은일, 최재욱, 김해준 (2012). 동일본 대지진구조현장에 파견된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및 관련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4(2), 167-179.

17.

윤명숙, 김성혜, 박아란 (2015).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클라이언트 폭력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2), 253-282.

18.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연구. 신경정신의학, 44(3), 303-310.

19.

이미나, 장은진, 이미영 (2018). 직업재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방식에 대한 개념도 연구. 사회과학연구, 29(2), 3-24.

20.

이원용 (2006). 안전행동 및 사고에 대한 성실성, 인지실패 및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산업 및 조직, 19(3), 475-497.

21.

이해경, 서경현 (2014). 신체손상을 입은 산업재해 환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431-442.

22.

정재우 (2000). 안전수행 예측에서 성격특성의 역할: 철도사고사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3(1), 41-70.

23.

정희자, 김지영, 정선영 (2016). 중동호흡기 증후군 환자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영향요인. 보건사회연구, 36(4), 488-507.

24.

최경숙, 임채기, 최재욱, 강성규, 염용태 (2002). 일부 산업재해 환자들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신경정신의학, 41(3), 461-471.

25.

Adler, A, B., Keane, T. M., & Bliese, P. D. (2013). Measure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occupational health context. In Sinclair, R. R., Wang, M., & Tetrick, L. E. (Eds.) Research Methods in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p.122-137). UK: Routledge.

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27.

Bamberger, P. & Bacharach, S. B. (2006). 9/11 and firefighter traumatic distress. 7th of the European Academy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roceedings. ISMAI - Instituto Superior da Maia. p.44.

28.

Castro, C. A., & Adler, A. B. (2011). Reconceptualizing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s an occupational hazard. In A. B. Adler, P. B. Bliese, & C. A. Castro (Eds.)Development psychology: Evidence-based strategie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the military (pp. 217-242).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9.

Cialdini, R. B. (2009). We have to break up.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1), 5-6.

30.

Creamer, M., McFarlance, A. C., & Burgess, P. (2005). Psychopathology following trauma: The role of subjective experienc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86(2-3), 175-182.

31.

DeFraia, G. S. (2016). Workplace Disruption following Psychological Trauma: Influence of Incident Severity Level on Organizations' Post-Incident Response Planning and Exec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7(2), 75–86.

32.

Derogatis, L. R., Lipman, R. S., Rickels, K., Uhlenhuth, E. H., & Covi, L. (1974).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 (HSCL): A self‐report symptom inventory. Behavioral Science, 19(1), 1-15.

33.

Grieger, T. A., Cozza, S. J., Ursano, R. J., Hoge, C., Martinez, P. E., Engel, C. C., & Wain, H. J. (200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in battle-injured soldi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3(10), 1777-1783.

34.

Griffin, M. A. & Neal, A. (2000).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 347-358.

35.

Horowitz, M., Wilner, N., &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3), 209-218.

36.

James, C. Q. (1999).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Historical roots and future directions. Health Psychology, 18(1), 82-88.

37.

Kang D.M., Kim S. Y., Kim Y. J., Kim J. A. (2017).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Witnesses of a Fatal Industrial Accident in a Workers’ Health Center. Safety and Health at Work, 8(4), 410-412.

38.

Lim, H. K., Woo, J. M., Kim, T. S., Kim, T. H., Choi, K. S., Chung, S. K., ... & Kim, W.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ehensive Psychiatry, 50(4), 385-390.

39.

Luft, B. J., Schechter, C., Kotov, R., Broihier, J., Reissman, D., Guerrera, K., ... & Pietrzak, R. H. (2012). Exposure, probable PTSD and lower respiratory illness among World Trade Center rescue, recovery and clean-up workers. Psychological Medicine, 42(5), 1069-1079.

40.

Mason, S., Wardrope, J., Turpin, G., & Rowlands, A. (2002). Outcomes after injury: A comparison of workplace and nonworkplace Injury. Journal of Trauma-Injury Infection & Critical Care, 53(1), 98-103.

41.

Perrin, M. A., DiGrande, L., Wheeler, K., Thorpe, L., Farfel, M., & Brackbill, R. (2007). Differences in PTSD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World Trade Center disaster rescue and recovery work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4(9), 1385-1394.

42.

Quick, J. C., Quick, J. D., Nelson, D. L., & Hurrell, J. J., Jr. (1997). Preventive stress management in organizations(rev. ed.).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3.

Schabracq, M. J., Winnubst, J. A. M., & Cooper, C. L. (2003). The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second edition. UK: John Wiley &Sons, Ltd.

44.

Smith, E. E. (2004). 힐가드와 애트킨슨의 심리학 원론[Atkinson & Hilgard's introduction to psychology]. (장현갑 등 역). 서울: 박학사. (원전은2003년에 출판)

45.

Weiss, D. S. (200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 P., & Tang, C. C. S. K. (Eds.). Cross-cultural assessment of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pp. 219-238). US: Springer.

46.

Zohar, D. (1999).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Testing the effect of group climate on microaccidents in manufacturing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4), 587-59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