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불안과 감염병 대처와의 관계에서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과 행동억제의 이중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edia Selection in the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on Anxiety and Coping with Infectious Diseas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1, v.26 no.1, pp.91-107
https://doi.org/10.17315/kjhp.2021.26.1.006
이보람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서경현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불안과 감염병에 대한 대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과 행동억제가 이중매개를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세 이상의 성인 25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을 특성불안으로, 행동억제는 행동억제체계로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감염병 대처는 물론 부적절한 감염병 대처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특성불안,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 및 행동억제가 전염병에 대한 적절한 대처뿐 아니라 부적절한 대처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성불안,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 및 행동억제 간에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적절한 감염병 대처를 준거변인으로 한 이중 매개모형에서는 특성불안이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을 매개로 한 경로, 행동억제를 매개로 한 경로, 이중매개 경로 모두 유의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서는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적절한 감염병 대처를 준거변인으로 한 이중 매개모형에서도 특성불안이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을 매개로 한 경로, 행동억제를 매개로 한 경로, 이중매개 경로 모두 유의하였다. 이 모형에서 위험지각 미디어 선택의 영향은 정적으로, 행동억제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기 때문에, 총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한국인의 감염병 대처에 대한 불안, 미디어 선택 및 행동억제에 대한 역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keywords
infectious disease, coping, anxiety, media, behavioral inhibition, 감염병, 대처, 불안, 미디어, 행동억제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s amongst 259 Korean adults over the age of 20, and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dia selection in the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on the relationship. Anger was measured by trait anger, behavioral inhibition was measured by BI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and the level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coping with infectious disease was also measured.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trait anger, media selection with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copings with infectious disease.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rait anger, media selection with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In a mediating model of appropriate coping with infectious disease, the path trait anxiety mediated by media selection with risk perception, the path mediated by behavioral inhibition, and the path mediated by both variables were all significant. However, the direct path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In a mediating model of inappropriate coping with infectious disease, the path trait anxiety mediated by media selection with risk perception, the path mediated by behavioral inhibition, and the path mediated by both variables were also significant. The total indirect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as the effect of media selection with risk perception was positive, and the effect of behavioral inhibition was negative in this model. This study provided useful findings about the role of trait anger, media selection with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in Korean adults’ coping with infectious diseases.

keywords
infectious disease, coping, anxiety, media, behavioral inhibition, 감염병, 대처, 불안, 미디어, 행동억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