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안구운동측정장비를 사용하여 만성통증 환자의 돌발통 유무와 단어 유형(감각통증단어, 정서통증단어)이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수원 소재 대학병원 신경통증클리닉에 통증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중 돌발통이 있는 만성통증 환자 17명과 돌발통이 없는 만성통증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참여자들이 감각통증단어-중립단어, 정서통증단어-중립단어, 중립단어-중립단어 자극쌍으로 구성된 free-viewing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들의 안구운동이 측정되었다. 주의편향 지표(주의지향, 주의유지)에 대해 각각 2(집단: 돌발통-무, 돌발통-유)*2(자극: 감각통증단어, 정서통증단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고정까지 걸린 시간에서 돌발통-유 집단이 중립단어보다 감각통증단어 및 정서통증단어를 경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 250ms동안 자극응시시간에서 돌발통-유 집단이 돌발통-무 집단에 비해 정서통증단어를 경계하며, 돌발통-유 집단 내에서도 감각통증단어에 비해 정서통증단어를 더 경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의유지 지표를 살펴보면 AOI에 응시한 총 시간에서 돌발통-무 집단은 중립단어보다 감각통증단어 및 정서통증단어로부터 주의이탈의 어려움을 보였고, 돌발통-유 집단은 중립단어보다 정서통증단어로부터 주의이탈의 어려움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기존 경계-회피 패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고, 주의편향 수정 프로그램에서 만성통증 환자의 돌발통 유무 및 단어 유형과 같은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Breakthrough pain (BTP) is temporary and considerably severe. Thus, patients with BTP are more likely to perceive pain-related stimuli as a threat than those without BT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ttentional bia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BTP. This study recruited 17 patients and 25 patients with and without BTP, respectively, from among patients with chronic pain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Republic of Korea. The participants’ eye movements were recorded using an eye tracker during a free viewing task that features sensory pain-neutral, affective pain-neutral, and neutral-neutral word pairs. Two-way ANOVA(group*word type) was conducted on the attentional bias indi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looking at the attentional-orientation index, it was found that in the time taken until the first fixation, patients with BTP were more vigilant towards sensory pain words and affective pain words than patients without BTP. In addition, during the first 250ms, patients with BTP was more vigilant towards affective pain words than patients without BTP. Finally, looking at the attentional-maintenance index, in the total time for taking the Area Of Interest (AOI), the patients without BTP showed more difficulty with distraction for sensory pain words than patients with BTP. The patients with BTP showed more difficulty with distraction for affective pain words than the patients without BTP.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need for correction of the existing vigilance-avoidance pattern, and they suggest tha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TP and word type in chronic pain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