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자존감과 건강한 삶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존감과 삶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와 우울이 병렬적 이중매개를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있는 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35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 긍정적 대인관계, 우울, 삶에 대한 동기와 기대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자존감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대인관계와 삶의 동기 및 기대 수준이 높았으며, 우울 수준은 낮았다. 긍정적 대인관계는 삶의 동기나 기대와 정적 관계를, 우울은 부적 관계를 보였다. 삶의 동기를 준거변인으로 한 이중매개모형에서는 대인관계만이 자존감의 유의한 매개변인이었으며, 삶의 기대를 준거변인으로 한 이중매개모형에서는 대인관계와 우울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초등학생의 자존감이 특히 대인관계에 잘 적응하게 하여 미래의 삶에 대한 건강한 태도를 가지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y attitude toward lif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arly adolescence, and to examin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52 students,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Self-esteem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epression, and motivation and expectation for future life were measur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ivation and expectation for future life and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and expectations of life, while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and expectations of life. In a mediating model of motivation for life,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self-esteem, and in a mediating model of expectation for future life,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suggested that self-esteem makes children adapt to especial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iving them a positive attitude toward futur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