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 증상에 대한 신체상 해석편향수정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신체불만족 수준이 높은 20대 여성 참여자를 선별하여 실험집단(n=20)과 통제집단(n=19)에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은 신체상에 대한 부정 해석 편향을 줄이고 긍정 해석 경향을 촉진하도록 피드백을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반응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활성화 위약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주간 4회기 온라인 기반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상에 대한 해석편향과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은 사전, 2회기, 사후 및 추후(훈련 1주일 후)에 평가하였고, 섭식장애 증상은 준거 시점을 고려하여 사전, 사후 및 추후 평가하였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 해석편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긍정 해석편향이 증가하였으며,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 수준이 감소하였다. Bonferroni 사후검증 결과, 긍정 해석편향 및 신체불만족에 대한 훈련의 효과는 2회기에 나타나 추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훈련 효과는 추후 시점부터 나타났다. 반면 섭식장애 증상은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신체상 해석편향수정 훈련이 부정 해석편향과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 감소와 긍정 해석편향 증가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body imag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ith a high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a training group(n=20), and a control group(n=19). The training group received training and feedback on body image interpret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n active placebo program. Participants received four online-sessions over two weeks. Body image interpretation bias,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were measured at baseline, after two sessions, post-training, and at follow-up.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were measured at baseline, post-training, and follow-up. Results from RM-ANOVA indicated that the training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decreased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onferroni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raining on 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body dissatisfaction appeared in both two sessions. Such effect was maintained until follow-up. The effect of training on abnormal eating behavior began to appear during the follow-up. In the case of eating disorder symptom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me of measurement and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dy imag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reducing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It is also effective in increasing positive interpretation bi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