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용전념치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효과: 화상통화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Effects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Video Call Group Counsel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1, v.26 no.6, pp.1025-103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6.004
김민지 (동명대학교)
최성진 (동명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화된 코로나 시대에 화상통화 방식으로 실시한 ACT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 소재의 D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하였고, 자발적으로 신청한 대상 중에서 무선 표집으로 30명을 선정해 10명은 온라인집단, 10명은 대면집단, 나머지 10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온라인집단은 화상통화 집단상담으로 ACT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대면집단은 직접 모임의 방식으로 ACT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1회, 회기 당 60~90분씩 진행되었다. 그리고 대인관계문제 척도와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 세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각 종속 변인의 사전점수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세 집단의 점수를 비교하는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제집단, 온라인집단, 대면집단의 사전-사후, 사전-추수, 사후-추수 측정치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온라인집단과 대면집단의 대학생은 통제집단 대학생에 비해 대인관계문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추수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college student, interpersonal problems, ambival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video communication, 수용전념치료(ACT), 대학생,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 화상통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conducted with a video call method in the prolonged COVID-19 era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emotional expression quantiti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of University D in Busan. From voluntarily applied subjects, 30 people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Of them, 10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following three groups: an online group, a face-to-face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online group received the ACT through video call group counseling, and the face-to-face group received the ACT program in the form of a direct meeting. ACT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I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0-90 minutes per session. Preliminary, post and later inspection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interpersonal problem scal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prior test, the prior scores of each dependent variable were compar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two-way repeat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Two-Way RMANOVA) was used to compare scores of the three groups.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r the Pre, Post, and Post-F/U test measurements of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personal problems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online group and in the face-to-fac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of ACT continue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keywords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college student, interpersonal problems, ambival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video communication, 수용전념치료(ACT), 대학생,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 화상통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