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자존감 불안정성이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척도를 이용하여 자존감 불안정성, 상태 자존감, 수치심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자아 위협 상황을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공격 행동은 본 실험 과제에 맞게 수정한 반응속도 경쟁게임을 활용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 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자아 위협 상황에서 수치심은 증가하였다. 또한, 자존감 불안정성이 공격 행동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데 비해, 수치심을 매개로 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여 자존감 불안정성, 수치심, 공격 행동의 완전 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의미와 임상적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instab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A total of 118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ed Self-Esteem instability, Self-Esteem, and Shame scales. In the experiment, they were presented with ego threatened situation, Aggressive behavior was measured using the modified Competitive Reaction Tim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self-esteem instability, the stronger shame in ego threatened situation. Furthermore, the direct effect of self-esteem instability on offensive behaviors was insignificant,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shame-mediated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ame could ful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instability and offensive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