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서인식상황에서 전반적 자폐 표현형 경향자에게 정서적 피드백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Emotional Feedback on Broad Autism Phenotype in Emotional Perception Situation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2, pp.173-193
https://doi.org/10.17315/kjhp.2022.27.2.001
우도현 (중앙대학교)
이장한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서인식 상황에서 정서적 피드백이 전반적 자폐 표현형(Broad Autism Phenotype: BAP) 경향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전반적 자폐 표현형 질문지와 한국어판 자폐 스펙트럼 지수 척도를 실시하여 두 척도의 절단점을 기준으로 BAP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고, 피드백 유형에 따라 통제 집단-정서적 피드백 30명, 통제 집단-객관적 피드백 30명, BAP 집단-정서적 피드백 28명, BAP 집단-객관적 피드백 30명으로 총 88명을 선별하였으며, 수정된 정서적 수반 자극 과제를 실시하여 목표 자극의 정서에 대한 반응 속도와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정확도는 민감도와 반응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BAP 집단은 정서적 피드백을 제공했을 때 객관적 피드백보다 빠르게 목표자극의 정서를 분류하였다. 특히 목표 자극의 정서가 화남인 경우, 정서적 피드백을 제공했을 때 객관적 피드백보다 더 빠른 반응 속도를 보였다. 또한, 피드백과 상관없이 BAP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느린 속도로 정서를 인식하였다. 정서인식의 정확도에 대해 두 집단은 모든 조건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전반적 정서 인식 상황에서 전반적 자폐 표현형 경향자의 정서 인식에 대한 정서적 피드백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보다 구체적인 정서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전반적 자폐 표현형 경향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keywords
전반적 자폐 표현형(BAP), 정서 인식, 피드백 유형, 정서적 피드백, 정서적 수반자극 과제, Broad Autism Phenotype(BAP), Emotion Recognition, Emotional feedback, Emotional Flanker Task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emotional feedback on the Broad Autism Phenotype (BAP) in emotional perception situations. 240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BAP group and a control group based on the cutting point of the two scales, 30 control group-non-emotional feedback, 28 BAP group-emotional feedback, and 30 BAP group-non-emotional feedback. Accuracy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results using sensitivity and response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AP group classified the emotions of the target stimulus faster than the non-emotional feedback when providing emotional feedback. Specifically, when the emotion of the target stimulus was angry, the response speed was faster than the non-emotional feedback when emotional feedback was provided.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feedback, the BAP group recognized emotions at a slower rate than the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emotional recognition under all conditions. From these results, the effect of emotional feedback on the emotional perception of broad autism phenotype in the overall emotional perception situation was confirmed, and the emotional feedback was provided to develop effective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social interaction skills of broad autism phenotypes.

keywords
전반적 자폐 표현형(BAP), 정서 인식, 피드백 유형, 정서적 피드백, 정서적 수반자극 과제, Broad Autism Phenotype(BAP), Emotion Recognition, Emotional feedback, Emotional Flanker Task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