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과도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 of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2, pp.195-210
https://doi.org/10.17315/kjhp.2022.27.2.002
김유림 (전북대학교)
서장원 (전북대학교)

초록

대학생들에게 Social Network Service(SNS)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위해 필요한 중요한 서비스이다. 하지만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등의 부적응적인 행동은 중독과 같은 심각한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의 부적응적 사용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인관계 문제 및 중독의 유력한 발달적 기원으로 알려진 애착과 SNS 사용양상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탐색하였으며, 두 변인의 관계를 부적응적 대인관계 행동 및 동기 요인인 과도한 재확인 추구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와 친밀관계 경험 척도-개정판, 우울한 대인관계 질문지-재확인 추구 하위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과도한 재확인 추구는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과도한 재확인 추구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개선하고자 할 때 애착불안이나 과도한 재확인 추구와 같은 대인관계 관련 특징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nxious attachment, SNS addiction proneness,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애착불안, SNS 중독경향성, 과도한 재확인 추구

Abstract

Although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an important service to develop and maintain intimat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maladaptive behaviors like excessive use may result in serious psychological proble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behaviors and attachment style that has been regarded as a reliable developmental origin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addiction.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examined and the median effect of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tested. We administered self-reports that assess SNS addiction proneness,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and anxious attachment style to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N = 271), and conducted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es. Our results showed that anxious attachment,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may be crucial to consider interpersonal features such as anxious attachment and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when treating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s.

keywords
anxious attachment, SNS addiction proneness,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애착불안, SNS 중독경향성, 과도한 재확인 추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