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정신건강 문제와 마찬가지로 강박적 성행동의 위험도 COVID-19 확산 후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한 심리적 고통이 강박적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부정적 정서신념 및 충동성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에서 성인 참여자 404명(여성 225명, Mage=45.01, SDage=13.54)을 모집하여 COVID-19로 인한 심리적 고통과 부정적 정서신념, 충동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COVID-19 심리적 고통은 강박적 성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PROCESS Macro를 활용한 상호작용효과 분석 결과는 강박적 성행동에 대한 COVID-19 심리적 고통의 영향이 부정적 정서신념과 충동성의 수준에 따라 변화함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고통은 부정적 정서신념이 강한 경우에만 강박적 성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충동성이 높은 조건에서만 유의하였다. 본 결과는 팬데믹의 장기화와 더불어 사회 전반의 취약성이 상승한 상황에서 정서와 인지, 성격 특질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강박적 성행동을 예측하는 통합적인 모형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The risk of compulsive sexual behavior has increased with the spreading of COVID-19.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COVID-19 on compulsive sexual behavior, and to test potential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s and impulsivity i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4 adults (225 women, Mage=45.01, SDage=13.54) were recruited online, and a set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COVID-19,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s, and impuls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VID-19 psychological distress significantly predicted higher levels of compulsive sexual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of COVID-19 psychological distress ×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s × impulsivity such that psychological distress predicted compulsive sexual behavior only when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s were high, and this interaction was significant only under the condition of high impulsiv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literature by proposing an integrated model in which emo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traits interact to predict compulsive sexual behavior under a prolonged pandemic context where the overall vulnerability of the society ha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