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무아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무아관이란 ‘나’라고 하는 것이 매 순간 조건 따라 변화하는 현상학적 경험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불교적 지혜에 기반한 자기관을 의미한다. 연구 1에서 무아관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연구 2에서 무아관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예비문항 선정. 전문가 문항평정, 1차 사전검사, 인지면담, 2차 사전검사 및 본검사를 거쳐 무아관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단일요인 15문항의 무아관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검사에서 무아관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2로 적절한 수준이었다. 무아관은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초월적 자기 및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같은 자기관 관련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무아관은 마음챙김, 중용, 연민적사랑, 자연연관성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같은 무아의 실천적인 모습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우울, 불안,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 같은 정신건강 지표들과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한편 무아관은 내적통제소재 및 자존감과 같이 적응적이고 독립적인 자기관을 통제한 이후에도 앞선 정신건강 지표들에 대해 증분타당도를 보였으며, 기존의 무아 척도를 통제한 이후에도 정신건강 지표들에 대해 증분타당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아관 척도의 의의 및 사용 방향을 소개하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Non-Self Perspective Scale (NSPS). Non-self-perspective refers to the idea that ‘Self’ is a phenomenological experience that changes consistently depending on the prevailing conditions and it means a self-view based on Buddhist wisdom. In Study 1, NSPS was developed, and in Study 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SPS were verified. NSPS was developed through item selection, expert’s item evaluation, first preliminary test, cognitive interview, second preliminary test and main test. Finally, a 15-item single factor NSPS was developed. In main test, test-retest reliability was .72, which was an appropriate level. NS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view-related variables such as independent/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etapersonal self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NS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actical aspects of non-self, such as mindfulness, zhongyong, compassionate love, nature relatedness and lack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NS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other hand, NSPS showed incremental validity for the mental health indicators even after controlling for adaptive and independent self-views such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were conducted. Finall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use of NSPS were introduc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