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면 및 비대면 접촉 빈도가 20대의 코로나 우울에 이르는 경로 탐색: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Identifying the Path from the Frequency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ontact to Corona Depression 20s: Mediating of Social Suppor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4, pp.589-607
https://doi.org/10.17315/kjhp.2022.27.4.001
신예솔 (연세대학교)
박수현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20대의 코로나 우울 현상을 이해하고자 대면 접촉 빈도와 비대면 접촉 빈도가 우울에 미치는 경로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지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248명의 학생으로 평균 연령은 22.1세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빈도, 사회적 지지, 우울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면 및 비대면 접촉 빈도, 사회적 지지, 우울 간의 관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면 접촉 빈도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사회적 지지를 거쳐 우울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접촉 빈도는 사회적 지지를 거쳐 우울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감소된 대면 접촉 빈도가 20대의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대면 접촉과 보완 관계인 비대면 접촉의 감소가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감소시킴으로써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앞으로 도래할 언택트 시대에서 20대의 우울 예방을 위해 비대면 접촉이 사회적 지지를 지각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으로써 중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안점과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접촉 빈도, 사회적 지지, 우울, corona, social distancing, social contact frequency, social support, depression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toface contact frequency, non-facetoface contact frequen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o understand corona depression, consider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emerging adulthood. This study was identify the path that facetoface contact frequency and non-facetoface contact frequency depression through social support. Participants were 248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and mean age was 22.1 years. The facetoface contact frequency, non-facetoface contact frequen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questionnaire w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Results show that 1) the direct of facetoface contact frequency on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direct of facetoface contact frequency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2) the indirect of non-facetoface contact frequency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the gender. Our findings indicate reduced facetoface contact due to social distancing reduced non-facetoface contact due to social distancing can negatively depression suggest that non-facetoface contact as a resource of social support may be i prevent depression in social distancing situation

keywords
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접촉 빈도, 사회적 지지, 우울, corona, social distancing, social contact frequency, social support,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