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건강심리학 연구주제의 흐름: 2002-2021

Trends of Health Psychology Study in Korea: 2002-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6, pp.1025-1036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11
한규만 (경상국립대학교)
최지명 (경상국립대학교)
이민규 (경상국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한국 건강심리학의 연구주제의 흐름을 확인하여, 건강심리학의 변화를 예측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에 게재된 논문 994편의 논문 제목에서 추출된 1207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를 추출하고, 주제어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주요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 변인 간의 관계 및 확인을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주요 주제어는 정서 및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연구들은 주요 주제어인 정서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Health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Research Trends, Data M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건강심리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연구동향, 데이터마이닝, 의미 네트워크 분석

Abstract

The study aims to predict changes in health psychology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firming the flow of research topics in Korean health psychology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high-frequency keywords extracts from 1207 from the titles 994 papers titl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for 20 years from 2002 to 2021,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leading research project of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nd confirmation between variables, many studies related to emotion and stress were confirmed to be the main keyword. Second, studi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confirmed that they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focusing on emo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and limitations on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re provided.

keywords
Health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Research Trends, Data M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건강심리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연구동향, 데이터마이닝, 의미 네트워크 분석

참고문헌

1.

강신익 (2006). 질병․건강․치유의 역사와 철학. 의철학연구, 1(1), 17-39.

2.

강혜자, 손정락 (2018). 한국의 건강심리학: 어제와 오늘그리고 내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1), 1-17.

3.

경승구, 장소현, 서남규, 문성웅, 오하린 (2019). 2019년건강보험제도 국민인식조사. 강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4.

보건복지부 (2021).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서울:한국건강증진개발원.

5.

서경현 (2017). 국내외 건강심리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1-14.

6.

손해인 (2020). 코로나 19 유행에 따른 뉴욕주 정신건강서비스의 변화: 비대면 원격 정신건강 진료(Telemental Health) 전면적 실시를 중심으로. 국제사회보장리뷰, 2020(여름), 71-86.

7.

이정화, 김희철 (2022).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 기반비대면 재난심리회복지원 서비스 촉진 방안 고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6(3), 463-468.

8.

최설 (2021). 코로나 시대의 건강심리 서비스: 원격 심리치료의 효과와 이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6(1), 1-20.

9.

Cyram (2017). NetMiner 4.3. Seoul: Cyram Inc.

10.

Engel, G. L. (1977).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a challenge for biomedicine. Science, 196(4286), 129-136.

11.

Farre, A., & Rapley, T. (2017). The new old (and old new) medical model: four decades navigating the biomedical and psychosocial understandings of health and illness. Healthcare, 5(4), 88-96.

12.

Johnson, B. T., & Acabchuk, R. L. (2018). What are the keys to a longer, happier life? Answers from five decades of health psychology research. Social Science & Medicine, 196, 218-226.

13.

Lundström, L. G. (2008). Further arguments in support of a social humanistic perspective in physiotherapy versus the biomedical model.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4(6), 393-39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