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웰빙인지 기법이 중년기 성인의 위기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Mobile Application on Midlife Crisi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life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1, pp.147-163
https://doi.org/10.17315/kjhp.2023.28.1.008
정해진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긍정심리중재법 중 하나인 웰빙인지 기법을 모바일 앱(App)에 제공하여 중년 위기감, 수용, 행동,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참여를 희망하고 국내 거주하고 있는 39세 ~ 60세 성인으로서,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된 총 53명으로 웰빙인지 프로그램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 27명(실험집단), 26명(통제집단)씩 무선할당했다. 처치는 3주 동안 진행됐으며, 매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웰빙인지기법을 실시하도록 지시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중년기 위기감 척도(Mid-Life Crisis Scale, MLCS), 수용-행동 척도(AAQ-16), 긍정정서 척도와 부정정서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만족 예상 척도를 사용했다. 처치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후 집단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값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중년의 위기감과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또한 처치집단의 수용-행동,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예상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그러나 긍정정서의 경우 실험집단이 대기통제집단보다 더 큰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keywords
긍정심리중재기법, 웰빙인지, 앱, 중년의 위기감, 주관적 웰빙, 수용행동, Well-being cognition, App, Mid-Life Crisis, Acceptance, Action, Subjective well-bei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mobile app on midlife crisi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life adul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dults aged 39~60 years.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using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with a smartphone APP application (n = 26) and a control group (n = 26).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three weeks consecutively.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quired to use Well-Being Cognition smartphone APP every day during the experiment. Before program commencement,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scal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Mid-Life Crisis Scale (MLCS),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AAQ-16),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for pre-post values of the two groups to verify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im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post differences of Mid-Life Crisis Scale (MLCS) and Negative Affec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re-post differences of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Positive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control group. However, the pre-post difference of Positive Affec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meaning of research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keywords
긍정심리중재기법, 웰빙인지, 앱, 중년의 위기감, 주관적 웰빙, 수용행동, Well-being cognition, App, Mid-Life Crisis, Acceptance, Action, Subjective well-be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