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비교 경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문화적 자기로 조절된 물질주의 추구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ion Effect of Materialism Moderated by Cultural Self-Construal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1, pp.63-82
https://doi.org/10.17315/kjhp.2023.28.1.004
이용건 (청주대학교 학생종합상담센터)
하창현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주관적 안녕감이 낮을 것이며, 이러한 관계는 물질주의 추구에 의해서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검증하였다. 또한, 사회비교 경향성이 물질주의 추구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문화적 자기(독립적 또는 상호의존적 자기)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294명의 참가자들에 대한 사회비교 경향성, 물질주의 추구, 주관적 안녕감, 독립적 자기, 상호의존적 자기를 측정하고, 사회비교 경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로 조절된 물질주의 추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회비교 경향성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는 물질주의 추구에 의해 매개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비교를 많이 하는 사람들은 물질주의 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물질주의는 최종적으로 낮은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비교 경향성이 물질주의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문화적 자기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독립적, 상호의존적 자기의 수준과 관계없이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높은 물질주의 성향을 보이며, 이러한 성향이 낮은 주관적 안녕감으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keyword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ubjective Well-Being, Materialism, Cultural Self-Construal, 사회비교 경향성, 주관적 안녕감, 물질주의, 문화적 자기관

Abstract

This study tested hypotheses that people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ould have lower subjective well-being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ould be mediated by materialism. Moreover, we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materialism tendency might depend on the level of cultural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 interdependent self). We recruited 294 participants, measured thei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materialism tendency, subjective well-being, independent self, and interdependent self, and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ialism moderated by cultural self-constru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mediated by materialism tendency.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had a higher tendency of materialism. Such higher materialism tendency led to lower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ialism tendency moderated by cultural self-construa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level of independent or interdependent self, people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related to higher materialism tendency, which led to lower subjective well-being.

keyword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ubjective Well-Being, Materialism, Cultural Self-Construal, 사회비교 경향성, 주관적 안녕감, 물질주의, 문화적 자기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