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폭풍 속의 고요, 고요 속의 폭풍: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방어적 언어의 조절 효과

Silence in a Storm, and a Storm in Silence: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Verb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Trauma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2, pp.367-382
https://doi.org/10.17315/kjhp.2023.28.2.007
곽재석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김형준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권선중 (한국침례신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의 야누스의 얼굴 모델에 근거해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방어적 언어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K 대학 재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과 방어적 언어,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한 다음, 외상 시점을 시점1(‘한 달 이내’부터 ‘7개월~1년 이내’), 시점2(‘1~2년 전’부터 ‘2~3년 전’), 시점3(3~10년 전), 시점4(‘10~20년 전’부터 ‘20년 이상 경과’)로 구분해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방어적 언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점1에서는 의도적 반추가 방어적 언어의 조절 효과로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시점2에서는 방어적 언어의 조절효과가 외상 후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점3과 시점4에서는 방어적 언어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 초기 대처 전략으로서 왜곡이나 자기기만과 같은 착각(방어)적 측면의 비중이 크다가 시간이 지나 적응적 성격이 커지면서 건설적인 측면을 보인다는 야누스의 얼굴 모델을 그대로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외상 후 성장, 의도적 반추, 방어적 언어, 야누스의 얼굴 모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verb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Janus face model of self-perceived growth.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5 students of K university, and trauma experience, defensive verbal,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measur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time of experiencing the trauma event was divided into four point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verbal on the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point 1 (‘within one month'~‘within seven months to one year'), point 2 (‘one to two years ago’~‘two to three years ago'), point 3 (3 to 10 years ago), and point 4 (‘10 to 20 years ago'~‘more than 20 years ag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t point 1, deliberate rumination showed a pattern of promoting post-traumatic growth as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verbal; but at point 2,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verbal was found to hinder post-traumatic growth. At points 3 and 4,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verbal was not confirmed. These results reflected the Janus face model of self-perceived growth; in the early stages of trauma, a large proportion of illusory (defensive) aspects of post-traumatic growth, such as distortion and self-deception, was shown, whereas the adoptive character grew over tim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defensive verbal, the Janus face model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