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의미만들기가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2, pp.399-424
https://doi.org/10.17315/kjhp.2023.28.2.009
장유빈 (성균관대학교)
장혜인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침습적 반추가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훈장학회 후원을 받아 인바이트에서 외상경험이 있는 대학생 293명(남 109명, 여 184명)을 대상으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의미만들기,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외상후성장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의도적 반추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외상후성장을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침습적 반추가 의미만들기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의미만들기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을 부적으로, 외상후성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을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즉, 침습적 반추가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도 높았으며, 이는 더 높은 수준의 의미만들기로 이어져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은 부적으로 예측하고 외상후성장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외상후성장,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의미만들기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Participants were 293 college students (109 males and 184 females) who completed a set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trauma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event-related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intrusive rumination positively predicted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ly predicted bo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oreover, intrusive rumination negatively predicted meaning making, and meaning making negatively predict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itively predicted post-traumatic growth. Furthermore,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trusive rumination, the higher the deliberate rumination,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meaning making, and meaning mak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meaning mak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