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월경전 증상과 신경증 및 정서억제의 관계: 생태순간평가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mptoms and Neuroticism and Emotion Suppression: An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Stud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2, pp.515-535
https://doi.org/10.17315/kjhp.2023.28.2.013
국민지 (연세대학교)
박수현 (연세대학교)

초록

월경전 증상에는 생물학적 요인과 더불어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월경전 증상에 있어 심리적 요인 및 요인들 간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순간평가를 사용하여 신경증과 정서억제가 월경전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월경전 증상에 대한 신경증과 정서억제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경증은 1회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정서억제와 월경전 증상은 각 참가자의 월경 예정일을 바탕으로 한 최대 10일간의 생태순간평가를 통해 측정되었다. 생태순간평가를 통해 3일 이상의 월경전 자료가 수집된 20대 여성 8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을 시행한 결과, 개인 내 수준에서 정서억제 수준이 증가할수록 월경전 증상의 심각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간 수준에서 신경증 수준이 증가할수록 월경전 증상의 심각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월경전 증상에 대한 신경증과 정서억제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월경전 증상에 있어 개인의 성격 특질과 정서조절전략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의 중요성과 요인들 간의 관계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신경증, 정서억제, 월경전증후군(PMS), 월경전불쾌감장애(PMDD), 생태순간평가(EMA)

Abstract

Although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along with biological fact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premenstrual symptoms, onl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ole of psychological fact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neuroticism and emotion sup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 premenstrual symptoms using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neuroticism and emotion suppression on premenstrual symptoms. In this study, neuroticism was assess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prior to EMA. Emotion suppression and premenstru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EMA for up to 10 days. Data from 80 women in their 20s whose premenstrual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days or mo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applied. At the within-person level, emotion suppression positively predicted premenstrual symptoms. At the between-person level, neuroticism positively predicted premenstrual symptoms.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neuroticism and emotional suppression on premenstrual symptoms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premenstrual symptoms an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neuroticism, emotion suppression, premenstrual syndrome (PMS),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