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0X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인드 다이어트 프로그램(Mind Diet Program: 이하 MDP)의 세 가지 모듈이 집중 명상, 마음챙김 명상, 자비 명상의 효과 과정을 토대로 각각 신체‧심리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자기조절을 촉진함으로써 다차원적인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각 34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참여자들을 모집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90분 내외로 총 10회기의 MDP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 집단이었다. 각 집단에서 신체‧심리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주의집중, 이완 용이성, 신체증상), 인지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마음챙김, 관점변화, 인적적 정서조절), 사회정서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자비심, 사회적 긍정정서,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에 대해 총 4회(사전, 중간1, 중간2, 사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혼합변량분석 결과, MDP 참여 집단의 참여자들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신체‧심리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와 삶의 만족에 유의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MDP가 다차원적인 자기조절력 향상을 통해 개인의 전인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삶의 만족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Mind Diet Program (MDP) was developed mainly as a meditation-based program to improve self-regulation (Gim, 2019). The main feature of this program is that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MDP is composed based on the effective process of three main meditation method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ultidimensional self-reg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DP on multidimensional self-regula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For this, 68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MDP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non-treatment group). Then, four survey measurements were conducted for indicators related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lf-regulation (attention, ease of relaxation, physical symptoms), cognitive self-regulation related indicators (mindfulness, perspective chang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ocio- emotional self-regulation related indicators (compassion, social positive emotion, interpersonal ability), and satisfaction of life. Mixed ANOV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DP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lf-regulation, cognitive self-regulation, socio-emotional self-regula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MDP enables holistic growth of individuals through the improvement of multidimensional self-regulation and positively contributes to increased satisfaction of life.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