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고령 성인의 자기통제력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1, pp.127-156
https://doi.org/10.17315/kjhp.2024.29.1.007
노수림(Soo Rim Noh)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최원일(Wonil Choi)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김주현(Joo Hyun Kim)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교실)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외로움은 사회적 관계 욕구가 좌절되거나 충족되지 않을 때 느끼는 공허함 혹은 쓸쓸함과 같은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정서를 뜻하며, 신체 및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중고령 성인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형성과 유지에 주요한 심리적 자원인 자기통제력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40∼71세 중고령 성인 총 69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자기통제력은 사회적 배제, 좌절된 소속감, 그리고 외로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기통제력은 외로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을 각각 매개로 하여 외로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통제력이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상태,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였으며, 40-50대 중년과 60대 이상 집단을 비교한 다집단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부족이 중고령 성인의 외로움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배제 경험과 좌절된 소속감의 증가를 통해서도 외로움이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고령 성인의 외로움 예방 및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외로움, 자기통제력, 사회적 배제, 좌절된 소속감, 중고령 성인, 매개효과

Abstract

Loneliness is a distressing emotional state characterized by feelings of emptiness and isolation when social relationship needs are frustrated or unfulfilled, posing risks to both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loneliness. A total of 694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40 to 71 yea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nd a serial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s.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via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This indicates that those with poor self-control skill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and that frequent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 and lack of sense of belongingness, in turn, tended to increase loneliness. In addition, the serial mediation influences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via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were documented in the 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health stat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Furthermore, subgroup analysis comparing middle-aged (40-50 years) and older adults (60 years and abov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social relationships as a contributing factor to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t also highlighted the intervening roles of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in this process. The discussion section addressed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preventing and reducing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keywords
loneliness, self-control, social exclusion, thwarted belongingness,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ediating effect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5-12
수정일Revised Date
2023-05-3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