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적 통증 척도(Social Pain Questionnaire)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Pain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1, pp.199-216
https://doi.org/10.17315/kjhp.2024.29.1.010
고소희(Sohee Ko) (외교부 마음쉼터 상담센터)
안성희(Sunghee An)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Strangier, Schüller와 Brähler(2021)이 제작한 사회적 통증 척도를 한국어판으로 번안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원척도의 한국어 번역과 역번역의 과정을 거친 총 10개의 문항에 20∼64세 사이의 성인 남녀 339명이 응답하였고 이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한국판 사회적 통증 척도의 1요인 구조가 확정되었다. 수렴타당도의 검증 결과, 사회불안, 대인관계 거절민감성, 성인애착, 우울, 정신건강과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평균분산추출과 합성신뢰도 또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판 사회적 통증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검증되었고 이에 따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사회적 통증 척도, 한국어 타당화, 사회적 배제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Pain Questionnaire (SPQ; Strangier, Schüller, & Brähler, 2021). A total of 339 adults aged between 20 and 64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SPQ: K-SPQ. The K-SPQ consists of 10 items and wa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reverse processes executed to ensure linguistic fidelity to the original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strument’s structural validity.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1-factor model, thus affirming the unidimensional structure inherent in the K-SPQ. Following this, an exploration of convergent validity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nstructs such as adult attachment, social anxiety, interpersonal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and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provided robust support for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nd the composite reliability metrics. In summation, the outcomes of this inquiry collectively af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SPQ. Following this validation, the study delved into the discussion of its inherent limitations and insightful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endeavors.

keywords
Social Pain Questionnaire, Social Exclusion, Validation of Scal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7-05
수정일Revised Date
2023-08-3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2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