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0X
이 연구는 Scrivner(2021)가 개발한 병적호기심 척도(Morbid Curiosity Scale: MCS)를 타당화하고 심리측정적 속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60대 성인 145명(남자 94명, 여자 51명)을 대상으로 문항양호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4요인 2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원척도와 달리 19문항으로 구성된 5요인 구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 문항에 대하여 전국 20대∼60대 성인 250명(남자 125명, 여자 125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첫째, 구성타당도 측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병적호기심 척도(K-MCS)는 5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총 19개의 문항은 ‘범죄자 심리’, ‘초자연적 위험’, ‘신체 침해’, ‘대인 폭력’, ‘주술’이라는 5 요인에 의해 설명되었다. 또한, 한국판 호기심 척도, 한국판 단축형 혐오민감성 척도, 한국판 단축형 어둠의 성격 4요소, Templer 죽음불안 척도, 한국판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 단축판,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 한글판 범불안장애-7,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를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K-MCS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한 결과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척도의 활용방안,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Morbid Curiosity Scale (MCS) developed by Scrivner (2021) and confirm its psychometric proper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assessed the quality of the items and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ata from 145 adults (94 males, 51 females) in their 20s and 60s nationwide, and found that a five-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19 items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original scale consisting of 24 items with four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analyzed in 250 adults (125 men and 125 women) in their 20s to 60s nationwide. First, CFA of construct validity show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K-MCS has an appropriate five-factor structure, i.e., a total of 19 items were explained by five factors: “minds of dangerous people,” “paranormal danger,” “body violation,” “interpersonal violence,” and “exorcism.” The paper also examin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uriosity and Exploration Inventory, the Korean Disgust Scale Revised, the Korean Short Form Dark-4, the Korean Templer Death Anxiety Scale, the Korean Affective Lability Scale-Short Form, the Korean Patient Heath Questionnaire-9, the Korea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and the Korean Perceived Stress Scale. We also examin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MCS and found it to be adequate. Finally, the applications of the scal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