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애도 관련 회피 척도(K-GRAQ)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ief-Related Avoidance Questionnaire(K-GRAQ)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3, pp.511-526
https://doi.org/10.17315/kjhp.2024.29.3.005
차성이(Sung-Yi Cha)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현명호(Myoung-Ho Hyun)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별 경험 이후 죽음과 상실을 상기시키는 자극에 대한 회피를 측정하는 애도 관련 회피 척도(GRAQ)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원 저자의 동의와 검토를 거쳐 한국판 애도 관련 회피 척도(K-GRAQ)의 최종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친밀한 대상과의 사별을 경험하고 6개월 이상 20년이 경과하지 않은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의 성인 483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문항 총점 상관, 검사 재검사 신뢰도를 검토한 결과 K-GRAQ의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K-GRAQ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n=241)과 확인적 요인분석(n=242)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나, 2요인 모형의 적합도보다 원저자가 제안한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K-GRAQ와 복합 비애 증상과 우울, 불안 증상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애도 회피, 복합 비애, 척도 타당화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Grief-Related Avoidance Questionnaire(GRAQ) developed by Shear et al(2007) according to domestic situations. The final items for the K-GRAQ were constructed with consent and review from the original authors. Subsequent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ere tested on 483 adults aged between 19 and 60 who had experienced bereavement in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6 months and 20 years of the loss. The reliability of the K-GRAQ was deemed satisfactory, as evidenced by its internal consistency, total-item correlations, and test-retest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241)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242)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GRAQ. Whi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two-factor solution, the fit indices favored the three-factor model proposed by the original authors. Additionally,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K-GRAQ and the symptoms of complicated grief, depression, and anxiet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Grief avoidance, K-GRAQ, Grief-Related Avoidance Questionnaire, Complicated grief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2-14
수정일Revised Date
2024-03-1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3-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