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0X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의 정서장애 관련 취약성이 지각된 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자비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정신건강의학과 약물치료 중이거나 상담 중인 경우를 제외한 20세 이상 60세 이하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정서장애 관련 취약성은 특성불안과 통제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장애 관련 취약성 변인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자기자비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보다 중요하게, 정서장애 관련 취약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지각된 스트레스의 영향력은 자기자비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성인의 우울과 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한 자기자비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비임상 집단인 일반 성인의 정서장애 관련 취약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자원으로써 자기자비의 기여를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vulnerability to emotional disorders on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ed by perceived stress, differ based on levels of self-compassion in the non-clinical population. To accomplish this, an online survey was given to individual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and the data from a total of 441 participants were analyzed. Vulnerability to emotional disorders was measured using scales for trait anxiety and emotional control.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using scales for perceived stres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ulnerability to emotional disorders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having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More importantly,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in mediating the effects of vulnerability to emotional disorders on depression and anxiety was lower with higher levels of self-compassion. The usefulness of self-compassion in alleviat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non-clinical population was discussed. Th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erms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ility to emotional disorders and depression/anxiety in a non-clinical population, as well as confirming the role of self-compassion as a resource for promoting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