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부부간의 분노표현 양식 불일치와 관상동맥질환 : 남자 환자 집단

Mismatch of Anger Expression Style in Couples may be Hazardous to Health : The Case of Korean Male Patients with CH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1999, v.4 no.1, pp.27-40
전겸구 (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김영조 (영남대학교 심장내과)
한덕웅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분노표현 양식과 관상동맥질환간의 관계에서 부부 관계성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우선, 부부간의 분노표현 양식과 관련해서 4가지 가능한 조합(억제-억제, 억제-표출, 표출-표출, 표출-억제) 가운데 불건강한 부부 조합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133명의 관상동맥질환 환자와 그들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Chon, Hahn, & Lee, 1998)를 사용하여 살펴본 결과, 부부간의 분노표현 양식이 불일치할 때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부 관계성, 흡연, 및 음주를 예측 변인으로 포함시킨 후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효과를 살펴본 결과, 흡연과 음주가 유의한 매개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부부 관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Smith(1992)가 제안한 5가지 모형 가운데 건강행동 모형을 지지하는 반면에 심리사회적 취약성 모형을 지지하지 않았다. 아울러, 결혼 생활을 통해서 분노표현 양식의 변화 형태를 살펴본 결과, 분노표현 양식이 결혼초기부터 일정한 형태로 안정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ole of marit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 between anger expression styles and coronary heart disease (CHD). To begin with. the study examined unhealthy couple types among four possible combinations: Anger- In patients/Anger-In spouses; Anger-In patients/Anger-Out spouses; Anger-Out patients/Anger-Out spouses. and Anger-Out patients/Anger-In spouses. When 133 CHD patients and 133 their spouses were examined, utilizing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Chon. Hahn. & Lee. 1998). mismatched couples revealed higher morbidity rate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smoking and the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but not marital dis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presence of CHD. Thus, the present findings were in favor of a health behavior model, and against a psychosocial vulnerability model (Smith. 1992). When an attempt was made to explore patterns of anger expression styles throughout married life, it was shown that the style of anger expression seemed stable from the early days of the marriage. Finally, the findings are discussed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and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