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인, 노인의 세대차 인식과 심리 행동특성의 차이와 유사점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이들 각 집단의 생활만족도 형성에 세대차 인식과 심리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과 성인은 집단으로, 노인은 개인 면접방식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총 2,789명이었다(청소년 981명, 성인 1,661명, 노인 147명). 세대차 인식에 있어, 노인이 청소년이나 성인보다 세대차이와 세대갈등을 많이 지각하였다. 청소년, 성인, 노인 모두 생활목표로서 가정화목을 가장 중요하게 의식했으며, 사회봉사는 노인이, 자아실현은 청소년이 목표로 하는 정도가 높았다. 진보지향가치는 청소년이 높았으며, 보수지향가치는 노인이 가장 높고 성인 청소년의 순서였는데, 청소년은 남자가, 노인은 여자가 더욱 보수적이었다. 청소년, 성인, 노인 모두 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관계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세대집단별로는 노인이 가장 관계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효능감이 높았는데, 남자는 세대집단별로 효능감의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에, 여자는 청소년에서 성인을 거쳐 노인이 될수록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 생활만족도는 노인이 가장 높았으며, 남자는 청소년보다 성인에서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안정된 직업을 선호하는 정도는 노인이 가장 높고, 청소년은 상대적으로 인기직업을 부러워하는 정도가 높았다. 세대갈등에 대한 대처양식으로 세 집단 모두 자기조절대처를 가장 많이 하였는데, 청소년은 남자가, 성인과 노인은 여자가 더욱 자기조절의 대처양식을 많이 활용하였다. 세대집단별로는 노인이 자기조절 및 사회적 지원 추구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노인이 가장 전통지향 역할행동을 많이 하고 성인 청소년의 순서였는데, 청소년과 성인은 남자가, 노인은 여자가 더욱 전통지향 역할행동을 하였다. 일상행동에서도 세대차이가 있었으며, 청소년이 가장 컴퓨터나 통신기기틀 많이 활용하며, 랩 힙합음악을 선호하고 쇼프로를 많이 보는 반면, 성인과 노인은 트로트 음악이나 뉴스프로를 선호하였다. 생활만족도의 형성과 관련하여, 세 집단 모두 관계효능감과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가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어, 효능감이 높고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이외에도 극복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아실현과 관련된 생활목표의식이 강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노인은 핵가족보다 대가족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만족도가 높고, 진보지향가치를 가질수록 만족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life-satisfaction among a sample of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A total of 2,789 participants (1,298 male, 1,489 female participants, and 2 missing) of which 981 were adolescents, 1,661 were adults, and 147 were elderly, completed a survey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in addition to the self-efficacy subscales developed by Bandura (1997).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 First, intergenerational conflict was greatest for female adolescents and elderly males. Second, male adolescents and elderly females were more likely to hold conservative values. Third, male adolescents scored higher than females adolescents on self-efficacy to control distressing rumination and resiliency, while such differences were not found for elderly. Fourth, for self-regulatory efficacy, males adolescents scored higher than female adolescents, while the opposite was true for the elderly. Fifth, female adolescents and elderly males were more likely to use mobile phones than their counterpart. For main effects, first, elderly perceived greatest intergenerational conflicts. Second, adolescents were most likely to hold progressive values. For life goals, social service was the highest mean for the elderly, while self-actualization was the highest for adolescents. Third, elderly preferred professional careers (e.g., doctors, professors), while adolescents preferred occupation in the entertainment sector (e.g., musicians, atheletes). Fourth, elderly were more likely to adopt coping strategies that emphasize avoidance or seeking social support. Fifth, the elderly preferred traditional sex-role differentiation, while adolescents preferred more egalitarian role obligations. For TV programs, adolescents preferred variety shows, and the elderly preferred drama. For music, adolescents preferred Hip-Hop and Rock 'n Roll, while the elderly preferred traditional and nostalgic music. For life-satisfaction, thos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lf-efficacy beliefs, conservative values, and low intergenerational conflict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Finally, those elderly who live in the extended family, rather than nuclear family, and those who had progressive values had higher life-satisfaction sc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