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분노가 유발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특성적 분노억제경향성이 높고 낮음과 문제해결 유·무가 분노 정서 경험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판 Spielberger의 상태-특성분노 표현척도증 분노억제 하위척도의 점수에 근거하여 평소의 분노억제경향성이 높거나 낮은 52명의 여대생들을, 실험배역인물의 무례한 행동으로 인해서 야기된 부당성이 실험자의 지적을 통해 적절하게 규정되거나 그렇지 못한 조건에 무선배당 했다. 피험자들은 실험의 각 단계를 통해 자신의 분노 정서 경험을 보고하고 혈압을 측정 받았다. 연구결과 첫째, 평소 분노억제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분노가 유발되고 해소되어 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저선, 분노유발 및 문제해결 단계 모두에서 더 많은 분노 정서를 경험했다. 둘째, 문제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조건의 피험자들은 문제해결이 이루어진 조건의 피험자들에 비해 문제해결 단계동안 혈압이 더 높았고, 회복기 단계에서의 회복도 느렸다. 분노억제경향성과 문제해결의 상호작용 경향성도 나타났는데, 문제해결 단계 후 문제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조건에서만 분노억제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분노 정서를 더 많이 경험했고, 혈압도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선행연구 및 관련 연구분야의 쟁점 사항들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anger-in tendency and problem-solving on anger experiences and blood pressure within the anger-arousing social interactional context. Fifty two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either a high or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were randomly assigned in either problem-solving condition or no problem-solving condition. Blood pressure and anger experiences were repeatedly measured during baseline, anger-arousing, problem-solving and recovery phas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ho had a high level of anger-in tendency experienced higher anger than subjects who had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during baseline, anger-arousing, problem-solving and recovery phase. Second, subjects in a non-problem-solving condition exhibited higher blood pressure than subjects in a problem-solving condition during a problem-solving period and subjects of a problem-solving condition showed slower pace in blood pressure recovery than subjects in a non-problem-solving condition. Third, in a non-problem-solving condition, subjects who had a high level of anger-in tendency exhibited higher anger and blood pressure than subjects who had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after a problem-solving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oblem-solving condition can moderate the effects of anger-in tendency on the anger experience and blood pressure. It also suggests that it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anger-in tendency as a trait compared to state anger-in behavior for dissolving the problem of anger-in (Spielberger) and anger-out (Siegman) controversy in CHD and high blood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