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식역하 ERP를 통한 정서적 자극의 무의식 처리

Event Related Potentials of Emotion Arising Words and Pictur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0, v.5 no.2, pp.304-315
정진복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안창일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정서라는 주제를 정신생리학적 기법(ERP)과 신경생리 모델을 통해 새로운 각도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첫째, 정서적 자극과 뇌 활동과의 관계를 밝혀보고 둘째, 인지와 분리된 정서의 처리과정을 검증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정서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이론적 기초가 될 한 발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Zajonc의 정서우세 가설을 LeDoux의 신경생리 모델로 재구성하여 ERP측정치를 통해 검증하였다. 식역하 ERP를 무의식 과정의 직접적인 뇌 지표로 가정하고 식역하 ERP와 식역이상 ERP를 비교하여 정서적 자극이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는지 검증하였다. 피험자는 남녀 대학생 17명씩 표집하였다. 자극재료는 중립그림과 성적 내용으로 된 정서가의 그림을 사용했다. 독립 변인은 시간, 제시조건(식역하 vs. 식역이상), 두피위치, 자극종류로서 모두 반복측정인 2×5×2 피험자내 설계이다. 종속측정치는 P300 진폭을 구하였다. 실험 결과 남녀에 따라 달랐다. 남자의 경우 식역하 제시조건(5ms)에서도 정서가 자극을 변별하였고 전두엽 국재화(좌측 우세)가 있었다. 반면, 여자의 경우 식역하 조건에서도 정서적 그림을 변별하긴 했지만 남자와 달리 전두엽 국재화가 없이 전반적으로 활성화되었다. 식역이상 조건에서는 좌측 전두엽 우세가 가설대로 지지되었으나 두정엽 비대칭(좌측 두정엽 우세)도 보고되어 전두엽에 전문화된 효과라기보다 좌측 측향화 효과를 보였던 것이 특정적이다. 이에 대해 성적 방어나 성적 자극에 대한 평가 등의 피험자 고유변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emotional stimuli and brain activities by the use of ERP which is one of the central measures in psychophysiology. In this study, the affective primacy model was tested based on the LeDoux's neurophysiological model through the ERPs. As the subliminal ERP was assumed to be a direct brain index of unconscious processes, a comparison between the subliminal ERP and supraliminal ERP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the unconscious processing of emotional stimuli. 17 males and femal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ree factors including stimulus types (emotional picture vs. neutral picture), sites(F3, F4, Cz, P3, P4), and presentation time(subliminal vs supraliminal). The results were differentiated by sex. Male subjects differentiated the stimulus types, and in addition, showed a left frontal superiority even for the subliminal condition. Even though female subjects showed a differentiated effect for the subliminal emotional stimuli, they failed to show frontal superiority, instead, the pervasive activation over the left hemisphere was menifested. Moreover, female subjects characteristically showed a lateralization effect including both the frontal asymmetry and the parietal asymmetry for the supraliminal emotional stimuli. They showed the frontal asymmetry, however, accompanied by the parietal asymmetry simultaneously. The results suggest lateralization effects rather than localization effects for the emotional stimuli. Some extraneous factors like sexual defenses and attitudes about the sexual stimuli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iscussing the overall result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