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인 남성의 흡연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변인: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 내원자들을 대상으로

The Psychosocial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Status in M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2, v.7 no.3, pp.447-461
송선희 (국민건강보험공단)
하은혜 (국민건강보험공단)
송동호 (국민건강보험공단)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흡연 및 금연 행위를 사회 학습 모형과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에 적용시켜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타에 내원한 성인 남성 120명으로 흡연 여부와 금연 여부에 따라 흡연 집단 70명, 금연 집단 30명과 비흡연 집단 20명으로 나뉘었다. 이들에게 흡연 및 금연에 대한 질문, 생활 사건 척도, 대처 방식 척도, 자기 효능감 척도와 SCL-90-R을 실시한 후 세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군과 금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적극적-인지적 대처를 적게 하였다. 2. 흡연군이 금연군과 비흡연군에 비해 회피적 대처를 많이 하였다. 3. 금연군이 흡연군에 비해 일반적 자기 효능감이 높았다. 4. 흡연군과 금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우울 증상을 더욱 많이 보고했다. 이 결과는 성인 남성의 흡연 및 금연에 있어 대처 방식, 자기 효능감과 우울 증상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며, 이는 실제 금연 프로그램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smoking, smoking cessation, stress, coping method, self-efficacy, depressive symptom., smoking, smoking cessation, stress, coping method, self-efficacy, depressive symptom., 흡연, 금연, 스트레스, 대처 방식, 자기 효능감, 우울 증상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plore the utility of social learning theory-based model and stress-vulnerability model of smoking behaviors. We distributed self-questionnaire to people who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 at National Health Corporation Ilsan Hospital.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Life Stress Assessment Scale, Symptom Check List-90 Revised(SCL-90-R), coping methods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was used with 128 men. Finally Subjects were 70 current smokers, 30 experimenters and 20 never-smok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urrent smokers and experimenters used significantly less active-cognitive coping method than never-smokers. 2. Current smokers used significantly more avoidance coping method than experimenters and never-smokers. 3. Level of general self-efficacy of current smok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xperimenters. 4. Current smokers and experimenters complained significantly more depressed mood than never-smokers. This study explored psychosocial variables which have much relation with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and it suggested that coping method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were very important factors in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keywords
smoking, smoking cessation, stress, coping method, self-efficacy, depressive symptom., smoking, smoking cessation, stress, coping method, self-efficacy, depressive symptom., 흡연, 금연, 스트레스, 대처 방식, 자기 효능감, 우울 증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