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up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eop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3, v.8 no.1, pp.113-131
서경현 (삼육대학교)
김영숙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과 관련된 변인들을 거주형태별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인 665명의 남녀 노인들이었다. 참여자 중에 287명은 누군가와 함께 살고 있는 노인이었고, 378명은 혼자 사는 노인이었다. 생활활동 수행 목록(The Index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사회적 지원 목록(Social Support Index), 및 노인생활만족 척도(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cale)가 참여자에게 주어졌다. 주요 통계분석은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이었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은 동거노인에 비해 사회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노인들은 여성노인들보다 자녀가 있으면서도 혼자 사는 경향이 있었다. 자녀가 있는 노인이 자녀가 없는 노인보다 생활에 더 만족하고 있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동거노인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 생활수준이 생활만족의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지만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성, 연령, 자녀유무 및 생활수준이 생활만족의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드러났다. 심리학적 변인 중에 신체기능, 건강지각 및 사회지원이 동거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예언변인인 반면에 신체기능, 건강지각만이 독거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예언변인이었다. 이 세 변인은 노인의 생활만족의 변량을 40% 이상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신체기능, 사회적 지원 및 건강의 역할을 한국에서도 재확증하는 것이고 거주형태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keywords
노인, 거주형태, 신체기능, 사회적 지원, 건강, 생활만족, the elderly, residential types, physical func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665 elderly men and women who were at least 65 years of age and lived in Seoul, Korea. Two hundred eighty sev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living with others and 378 of them were living alon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The Index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Social Support Index(SSI),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cale(LSES). Main statistical designs we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lived alone received less social support than the elderly lived with others, and the elderly men who had children were likely to lived alon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lived with others, while gender, age, the existence of child, and economic status in demographic profiles wer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lived alone. In psychological variables of this study, physical function, self-reported health, and social support wer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lived with others, while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lived alone. These three variables, physical function, self-reported health, and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more than 40% of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These findings reiterate the role of physical function, social support, health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and suggest a role for residential types.

keywords
노인, 거주형태, 신체기능, 사회적 지원, 건강, 생활만족, the elderly, residential types, physical func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