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지위가 집단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 Self-esteem and Group Status on Collective Self-esteem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1, pp.53-64
김지경(Ji-Kyung Kim)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수애(Su-Ae Park)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구(Hoon-K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의 지위가 여러 가지 집단자아존중감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가, 그리고 구체적인 집단에 대한 집단자아존중감을 일반적인 수준의 집단자아존중감이 종합적으로 대표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집단의 지위가 다르다고 인정되는 두 대학의 학생들에게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집단자아존중감은 일반적인 집단, 대학, 성, 자신이 활동하고 있는 소집단에 대한 집단자아존중감을 각각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구체적인 집단들에 대한 집단자아존중감과 일반적인 집단자아존중감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자아존중감간을 측정하는 여러 척도들간에도 집단의 지위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집단지위는 집단자아존중감의 구체적 하위요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 공적 집단자아존중감면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나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지위변인을 독립변인화하고 집단자아존중감을 종속변인화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집단자아를 중감에 있어 개인자아존중감이 집단지위변인보다 더 중요한 설명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개인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또한 자신이 속해있는 집단의 지위가 높을수록 자신이 속해있는 집단에 대한 집단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자신이 속해있는 여러 범주들에 대해 일관되게 높은 자부심을 유지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self-esteem and status of social group and collective self-esteem were examined. In addition whether general collective self-esteem represent specific collective self-esteem about various groups was tested.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were measured. The data was gathered from two universities which were regarded as having different social status. Various collective self-esteem of different kinds of social groups(eg, general group, university, sex, small group which survey participants attended) were surveyed. The collective self-esteems about concrete groups(university, sex, and small group) were correlated moderately with general collective self-esteem.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 self-esteem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all collective self-esteems regardless of the group status. Group status is a main factor that influences collective self-esteem about university. The unexpected result was the effect of group status on collective self-esteems on sex group, especially on the private collective self-esteem and identical collective self-esteem sub-scale. In conclusion, individuals who have high personal self-esteem have high collective self-esteem than there of individuals who has low personal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status of group which individual belong to, collective self-esteem about the group was higher. But the difference of group status was inflexible, it was considered that high personal self-esteem individuals who belongs to low status group accept the status of group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